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적
용적량
분량
함유량
산출량
뉴스
"
용량
"(으)로 총 1,5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전기연, 185억 투입 HVDC 시험 인프라 창원에 구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28
활용할 인프라를 경남 창원에 구축한다고 27일 밝혔다. HVDC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대
용량
전력을 고압 직류로 변환해 원거리까지 전송하는 기술이다. 전기연과 산업통상자원부, 경상남도, 창원시가 185억 원을 투입해 창원 전기연 본원에 2023년 완공을 목표로 시험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 ... ...
기초지원연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해 세계적 분석기관으로 도약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1mm보다 얇은 전지는 자유롭게 구기거나 자르고 전지 내부를 공기에 노출시켜도
용량
이 줄어들지 않고 정상 작동한다. 김해진 기초지원연 소재분석연구부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개발한 구부리거나 잘라도 동작하는 전고체 이차전지의 모습이다. 기초지원연 제공 이날 기초지원연은 충북 청주 ... ...
화재로 멈췄던 신고리 4호기, 조기 투입된다…전력사용 급증 대응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1GW
용량
의 신월성 1호기는 16일 원안위 승인을 받아 21일 전출력에 도달할 예정이다. 0.7GW
용량
의 월성 3호기는 계획정비 일정을 마치고 22일 원안위에서 재가동 승인을 받으면 23일부터 전력 공급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 ...
식약처 “화이자 접종연령 만 12세 이상으로 하향”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의 접종 연령을 만 12세까지 낮춰 변경 허가했다고 밝혔다. 용법과
용량
은 만 12∼15세의 경우에도 기존 만 16세 이상과 마찬가지로 백신을 희석한 후 0.3mL로 1회 접종하고 3주 후 추가로 접종하는 방식이다. 식약처는 2차 접종 후 7일까지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은 만 12~15세 1983명을 ... ...
삼성·SK, 메모리 반도체 미래로 소셜·스마트·개방 제시(종합)
연합뉴스
l
2021.07.15
4세대(1a) 모바일 D램 양산에 돌입한 바 있다. 한진만 부사장 역시 "메모리 업계가 더 큰
용량
과 더 빠른 속도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오랫동안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이제는 또 한번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미래의 메모리 기술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수준의 성능과 ... ...
"배터리
용량
2.6배 늘리는 전처리 용액 개발"
연합뉴스
l
2021.07.15
이들은 "이를 통해 개발된 전극은 250회 충·방전하는 내구성 시험 후에도 초기
용량
의 87.3%를 유지하는 우수한 수명 특성을 보였다"고 강조했다. 이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현재 15% 이내에 머물던 흑연·실리콘 복합 음극 내 실리콘 함량을 50% 이상으로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뇌
용량
은 1420㎖로 호모 사피엔스와 비슷하다. 네안데르탈인도 같은 이유로 현생인류와 뇌
용량
이 비슷하다. 하얼빈 주인공과 네안데르탈인의 뇌가 럭비공이라면 호모 사피엔스의 뇌는 축구공인 셈이다. 30만~14만 년 전 동북아시아에서 네안데르탈인을 닮은 고인류가 살았다면 데니소바인이 바로 ... ...
안전성 논란 신한울 1호기, 우여곡절 끝 건설 승인 10년 만에 운영 허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7.09
승인됐다. 2010년 착공을 시작한 신한울 1호기는 한국형 원전(APR1400)으로 발전
용량
은 1400MW(메가와트)급이다. 신한울 1호기는 지난해 4월 공정률 99%로 준공을 완료한 상태에서 원안위가 사전검토를 진행했고, 지난해 11월 본격적으로 심의에 착수했다. 신한울 1호기는 12차례에 걸친 마라톤 보고에 ... ...
[우주산업 리포트]아시아 우주 비즈니스의 핵심 거점 정조준한 일본 우주산업
2021.07.09
기체 가격을 기존 모델에 절반 수준으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 동시에 엔진 추력과 탑재
용량
은 크게 늘려 더 싼 가격에 더 많은 화물을 궤도에 올릴 수 있는 기술적 환경을 구축했다. H3로켓이 2022년부터 예정대로 본격 가동되고 성능에 대한 국내외 고객들의 신뢰도가 쌓이면 이는 자연히 일본 내 ... ...
누리호 개발하는데 고체 우주발사체 왜 개발할까
2021.06.28
클수록 성능이 좋다. 액체 연료는 300~400 초 정도로 분석된다. 이런 이유로 지금까지 대
용량
발사체는 액체 엔진을 쓰고 고체 발사체는 액체 발사체를 도와 추력을 내는 부스터나 중형 발사체로 지구 저궤도에 탑재체를 올리는 용도로 쓰여왔다. 방산업계 관계자는 "저비용의 고체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