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314건 검색되었습니다.
꽃들은 어떻게 진화했나...최대 규모 '꽃 가계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2
갑작스러운 폭발'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
자 데이터를 통해 많은 식물군들의 관계를 재구성하고 일부 개별 종들을 재분류해 분석한 결과다. 연구팀은 "이는 과거에 이루어진 추정치를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또 지구의 기온이 급락하는 가운데 종의 수가 또 한 번 급증한 ... ...
수온 30도에도 살아남는 물고기, 개체 수도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5.11
교배가 가장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친 교배로
유전
적 다양성이 부족해지면 해로운
유전
적 돌연변이 발생률이 높아지고 환경 변화나 질병에 취약해진다. 펍피시는 데블스 홀에 최소 1만 년 이상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펍피시가 어쩌다 사막의 웅덩이에 왔는지는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다. ... ...
[과기원NOW] GIST-서울대, 메모리용 고성능 강
유전
체 확보 위한 공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활용하면 기존보다 100도 낮은 온도에서 강
유전
체 산화물을 확보할 수 있다. 강
유전
체는 외부에서 전기장을 가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전기분극하는 물질이다. 고성능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사용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소재과학과 엔지니어링 R :리포츠'에 7일 온라인 게재됐다. ■ ... ...
"사회적 차별 받으면 빨리 늙는다"
2024.05.10
인간의 생물학적 노화를 측정하는 최첨단 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후성
유전
학적 시계는 총 3세대에 걸쳐 개발됐다. 연구팀은 혈액 검사 및 생존 기간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사망 위험을 예측하는 2세대 시계와 장기 시스템 무결성 지표의 종단적 변화를 분석해 개발된 3세대 시계를 활용해 ... ...
18개월 아기 들리지 않는 귀,
유전
자 치료제로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밝혔다. 리제네론파마슈티컬스는 8일(현지시간) 미국 볼티모어에서 열린 '미국
유전
자·세포치료학회 학술대회'에서 DB-OTO를 투여한 생후 16개월과 4세인 청각장애 환아가 24주 내 정상 청력을 되찾았다고 발표했다. 이 치료 결과는 미국, 영국, 스페인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임상 1,2상 ... ...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 앞당기는 '데이터 렌즈'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생물학적 신호만 찾아내는 분석 도구가 필요하다. 수백~수천 개에 이르는 세포의 다양한
유전
자 발현량을 측정한 데이터 용량은 수십 기가바이트(GB)에 달한다. 방대한 데이터 중 생물학적으로 유용한 신호는 3% 내외에 불과하다. 유용한 신호를 골라내기 위해 그간 여러 데이터 처리 도구가 ... ...
자폐아가 일상의 작은 자극에도 괴로운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원임임을 증명한 새로운 연구”라며 “전측 대상회피질 신경세포의 활성 억제가 Grin2b
유전
자 결손과 관련된 감각 과민 치료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 ...
美 10대 겸상적혈구빈혈 환자 대상
유전
자치료법 첫 시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5.07
가위 치료제 엑사셀이 함께 승인을 받았다. 엑사셀은
유전
자 가위를 사용해 환자의
유전
자를 직접 교정한다는 점에서 리프제니아와 차이점이 있다. 버텍스는 엑사셀을 활용한 환자 치료 사례 시작됐는지 여부를 아직 밝히지 않았다 ... ...
알츠하이머 치매 유발 또다른
유전
인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7
젊을 때 APOE4 동형접합체 보유 여부를 체크해야 한다고도 설명했다. APOE4 사본이 2개인
유전
적 특징을 가진 사람들을 모니터링하면 개별화된 예방 및 치료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 ...
쓰지 않은 약 나올까…서서히 베일 벗는 '맛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5.06
2000년으로 돌아간다. 미국 하워드휴스 의학연구소 연구팀이 쓴 맛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유전
자로 'TAS2R'을 지목한 논문이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되면서다. 2010년에는 독일 인간영양연구소 연구팀이 어떤 화학물질들이 TAS2R의 수용체들을 활성화시키는지 밝혀냈다. 하지만 이후 쓴 맛 메커니즘을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