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구조
합성
맞춤
혼합
구상
마춤
뉴스
"
조립
"(으)로 총 930건 검색되었습니다.
노트르담 되살리는 3D 스캐닝의 ‘마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작은 뼈대인 부재를 측정해 데이터베이스화할 경우 이 부재를 컴퓨터 가상공간에서 쌓고
조립
해 보면서 안정적인 복원 형태와 방법을 연구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20년 만에 복원을 마친 전북 익산 미륵사지 석탑에 이 기술이 쓰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2001년 미륵사지 석탑 6층 옥개석을 내릴 ... ...
“우주에서 활약할 ‘작은 변신 로봇’ 만들고 싶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이야기가 다르다”며 “대량생산이 쉬운 2차원 형태의 가벼운 로봇을 우주로 보낸 뒤
조립
을 통해 3차원 구조를 갖게 하면 된다. 미래에는 영화 ‘트랜스포머’ 같은 로봇이 우주에서 활약하는 시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우주망원경 장착된 차세대소형위성1호 본격적으로 임무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1호는 KAIST 인공위성연구소 주도로 2012년 6월 개발에 착수했다. 2017년 7월 위성
조립
과 성능시험을 마치고 지난해 12월 4일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미국 민간우주회사 스페이스X의 팰컨9에 실려 우주로 향했다. 최근 3개월간 이뤄진 초기 운영과정에서 위성 상태, 자세 제어 및 기동 ... ...
여름 바다의 적 거대 독 해파리의 비밀, 게놈 해독으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염기서열을 총 972억 쌍 해독했다. 그 뒤 이 염기서열정보를 재조합해 실제 해파리 게놈을
조립
해 냈다.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해파리 게놈의 염기서열 수는 사람(30억 쌍)의 15분의 1 수준인 2130만 개였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를 분석해 먼저 촉수로 먹이를 잡을 때 독액을 만드는 데 관여하는 ... ...
세포 행동 모방한 군집로봇
과학동아
l
2019.04.02
수 있으며, 빛과 같은 신호에 반응해 자극이 있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연구팀은 자기
조립
, 치유, 운반 등 세포의 생물학적 행동을 모방하도록 군집로봇 시스템을 설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을 이용하면 최대 10만 개의 로봇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된 로봇 중 20% 정도만 구동해도 ... ...
교도소 노역도 육체노동에서 IT노동으로 바뀌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4.01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교도소에 수감된 제소자들의 노역을 떠올리면, 단순히 물건을
조립
하거나 공구를 통해 제품을 가공하는 육체 노역이 주로 떠오른다. 핀란드에서는 이런 노역을 정보통신(IT) 노역으로 바꾸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더버지와 포춘 등 외신은 28일 핀란드 빅데이터 스타트업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⑦ 요구를 잘 이해하는 습관 길러주기
2019.03.27
이번에는 실습 지침을 보여주며 직접 작성해 보라고 했다. 필요한 블록들을 미리 블록
조립
화면에 준비해 놓고 조합만 시켰던 이제까지 방식과는 달리 오브젝트 만들기 등 처음부터 스스로 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제까지와 다른 방식에 적잖이 당황한 듯한 아이에게 실습 지침만 따라 하면 된다고 ... ...
조동호 후보자 코끼리열차, 살펴보니 ‘하얀코끼리’
동아사이언스
l
2019.03.24
KAIST 온라인전기자동차사업단이 개발한 코끼리 열차가 대부분 수입산 부품으로 제작된
조립
품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새로운 기술 개발 과정에서 국내에서 모든 부품을 조달하기 어려워 수입산 부품을 일부 쓰는 경우는 있다. 하지만 국산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를 하겠다며 막대한 연구비를 받은 ... ...
포스텍 연구팀 리튬·황배터리 성능 향상 전극 개발
연합뉴스
l
2019.03.23
황이 전해질에 녹아 전지 성능과 수명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자기
조립
(self-assembly) 방법으로 벌집 모양 3차원 구조를 만들어 리튬이온과 전자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 분극현상을 크게 줄여 전극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김 교수는 "기존 리튬 이차전지의 문제인 양극재 ... ...
반도체 나노막대 사용해 빛 손실 문제 해결한 초박막 편광필름 제작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이도창(왼쪽)∙김신현(가운데)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반도체 나노막대가 일렬로 배열된 수 나노미터(nm) 두께의 편광필름을 개발했다고 20 ... 1월 25일자에 발표됐다. 나노막대 표면을 감싸고 있는 리간드 층 밀도에 따른 자기
조립
구조 모식도와 전자현미경 이미지. KAIST 제공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