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목
톳나무
뉴스
"
큰나무
"(으)로 총 579건 검색되었습니다.
퉁구스카 사건의 진실 밝혀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6.14
북서쪽 하늘에서 불타는 듯한 기둥이 창 형태로 나타났다. 불기둥이 사라졌을 때 갑작스럽게 대포소리처럼 큰 소리가 5차례 잇따라 들렸다. 땅이 심하게 흔들렸고 여러 집에서 창유리가 깨졌다. 사람이 넘어질 정도로 강력한 바람이 불었고, 어떤 농부는 넘어지지 않으려고 쟁기를 꽉 쥐고 있어야 ... ...
[채널A] 옥상정원이 기온 낮춘다…최대 8도 ‘뚝’
채널A
l
2013.05.27
[앵커멘트] 이렇게 무더운 올 여름, 관심갖고 지켜볼만한 뉴스입니다. 더위는 건물들이 밀집한 도심에서 더 기승을 부리는데요. 옥상에 작은 정원을 가꾸는 것만으로도 주변 온도가 최대 8도까지 내려간다고 합니다. 이영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달아오른 아스팔트 도로와 메마른 가로 ... ...
“평균 B학점보다 과락 있어도 한과목이라도 A+ 받는 이가 인재”
동아사이언스
l
2013.05.10
강성모 총장이 7일 오전 대전 유성구 총장실에서 인터뷰를 하던 중 서남표 전임 총장의 소통문제가 화제에 오르자 펜을 들었다. 그는 그림을 그려보이며 소통없이 직선으로만 가다가는 목표에 도달하기 전에 넘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대전=전승민 기자 enhanced@donga.com 2007년 3월 중순 미국 캘리 ... ...
조선 최고 지식인 왕, 아비가 둘이었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5.06
진종(좌), 효순왕후(우)의 릉 - 이종호 박사 제공 영릉은 영조의 맏아들인 진종(1719~1728)과 효순왕후(1715~1751) 조씨의 능이다. 진종은 1725년 7세에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나 3년 뒤 사망하자 시호를 효장이라 하고, 후에 왕으로 추존해 진종이라 했다. 영조는 이후 사도세자를 뒤주에 갇혀 죽게 한 뒤 사 ... ...
왕비의 묫자리도 정치적 희생양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희릉은 조선 제11대 왕인 중종의 제1계비 장경왕후(1491〜1515) 윤씨의 능이다. 장경왕후는 파원부원군 윤여필의 딸로 중종반정의 주역이었던 박원종의 누이다. 1506년 중종반정 때 후궁인 숙의에 봉해졌다가, 단경왕후 신씨의 아버지가 역적으로 몰려 사사되고 역적의 딸인 단경왕후도 폐비가 되면 ... ...
[View Point] 미래창조과학부, 과학계 생각대로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1월 15일 오후 5시. 김용준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은 “미래창조과학부를 신설해 창조과학을 통해 창조경제의 기반을 구축하려고 한다”고 발표했다. 소문으로만 돌던 근혜노믹스의 콘트롤타워인 ‘미래창조과학부’가 대중 앞에 공개된 것이다. 인수위의 큰 그림에 따르면 우선 교육과학기술부 제2 ... ...
나이테 이용해 국내 最古 나한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사람은 물론이고 세상 모든 것에는 ‘나이’가 있다. 사찰에 있는 불상도 마찬가지다. 사람은 태어난 날로 나이를 계산하지만, 특별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는 한 불상이 얼마나 오래된 것인지 알 수 없다.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나이테를 이용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나한상’을 찾아냈다.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지난주 금요일(15일) 저녁 TV에서 뉴스 예고편을 보다가 깜짝 놀랐다. 러시아에서 유성체가 폭발해 주민 수백 명이 부상을 입었다는 것인데 흰 연기를 뒤로 하며 떨어지는 유성이 해 뜰 무렵인데도 분명히 보일뿐 아니라 도심 사거리를 비추는 화면을 보니 순간적으로 엄청나게 밝아지기까지 했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20세기 초반까지 세계 과학을 이끌고 있던 유럽은 나치가 득세하고 제2차 세계대전이 터지면서 그 주도권을 미국으로 넘겨주게 된다. 종전 뒤 오늘날까지 미국은 확고한 1인자로 권좌를 유지하고 있다.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부고가 실린 과학자 25명의 국적 분포가 이런 역사를 잘 설명한다. ... ...
이전
54
55
56
57
58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