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기억"(으)로 총 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신에게 1년의 시간만 주어진다면 무엇을 할 것인가?2017.06.24
- 생각해 보면 그 때는 죽고 사는게 문제라서 평상시의 고민들이 정말 하찮게 느껴졌던 기억이 있다. 주어진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미래라는 것이 과연 올지부터가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미래에 대한 고민이 의미없게 느껴졌던 것 같다. 주어진 시간을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데 희생하기보다는 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2017.05.30
- 전 서울시립박물관에서 본 ‘북유럽 건축전’이 지금도 기억에 남는다. 단순하면서도 세련된 북유럽 가구의 확대 버전이라고 할 멋진 목조 주택들을 감상할 거라고 생각했던 필자는 학교나 아파트 상가 규모의 목조 건물 모형들이 주로 전시된 걸 보고 좀 놀랐다. ‘이 정도 건물을 나무로 지을 수 ... ...
- 사랑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2017.05.13
- 있다고 한다. 나의 경우 관계가 깊어지기 시작할 즈음 기쁨 못지않게 두려움이 컸던 기억이 있다. 이 사람이 날 잘 모르고 그러는 걸 거야, 알게 되면 금방 마음이 변할 거야 등 관계에서 벌어질 수 있는 온갖 나쁜 일들부터 상상하고, 결국 아무 관계도 시작하지 않음으로써 나를 보호하기를 선택했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2017.05.10
- 건수 10년 새 열 배 다음으로 데이터 조작 문제인데 우리나라는 황우석 사태라는 뼈아픈 기억이 있기 때문에 굳이 길게 언급하지는 않겠다. 많은 경우 실험을 하는 학생 또는 박사후연구원이 몰래 사고를 치고 교수가 진두지휘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그러나 이런 노골적인 행위를 너머 데이터 조작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2017.04.25
- 류화영’이라는 문구가 나온다. 자매인가 싶어 검색을 해봤더니 일란성쌍둥이다. 기억을 더듬어 봐도 주연급 연기자 가운데 일란성쌍둥이인 사례가 떠오르지 않는다. 흥미를 느낀 필자는 이 검색어를 클릭해 나온 이미지들을 봤는데 개중에는 두 사람의 얼굴을 구분하기 어려운 사진들도 있었다. ...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담아 지었다. 이름이 독특하다보니 연구실 이름을 한 번 들으면 외국인 연구자들도 쉽게 기억한다. UNIST에 부임 후, 조 그룹리더는 자신의 관심사를 나열해보았다. 유체 흐름(fluidics), 생물학적 반응, 화학 반응 등 각종 반응(reaction), 이를 둘러싼 융합, 통합(integration), 과학, 기술이라는 키워드 속에서 ...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2017.04.01
- 케이스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평소 각종 실수나 실패, 특히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쳤던 기억 때문에 스스로를 자주 비난하곤 한다. 좋지 않은 성과를 보여 누군가를 실망시켰다던가 또는 같은 팀원들에게 피해를 주고 말았다던가, 나도 모르는 사이 상대에게 상처주는 말이나 행동을 했다던가, ... ...
- 잠이 모자란 판사는 형량을 더 높게 선고한다?2017.03.25
- 미친다. 일례로 잠이 모자란 사람은 ‘난 멀쩡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작업기억 (컴퓨터로 치면 RAM 같은 역할을 하는 정신 과정. 복잡한 과제들을 한꺼번에 처리하는 등의 일에 중요한 능력)이 떨어지고 이전에는 칼같이 하던 ‘손익계산’에도 둔감해진 모습을 보인다. 또한 각종 복잡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2017.02.28
- 사는 한 말벌(Polistes fuscatus)은 정교한 계급사회를 이루고 있는데 각 구성원의 얼굴을 기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각자 얼굴의 노란색과 검은색 패턴이 다른데 이를 식별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이 말벌 한 마리를 잡아 얼굴에 점을 하나 찍은 뒤 놓아주자 말벌들이 외부침입자로 인식해 공격했다. 반면 ... ...
- 죄책감을 덜 느껴야 하는 이유2017.02.12
- 경험은 사회적 동물인 우리들에게 있어 근본적으로 ‘즐거운’ 경험이라는 점을 기억해보자. ※ 참고문헌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Wiltermuth, S. S., & Cohen, T. R. (2014). “I’d only let you down”: Guilt proneness and the avoidance of harmful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