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스페셜
"
물리학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논의의 중심이다. 장면1. (사자(死者)들의 대화) 하이젠베르크: 전 단순히 선생님에게
물리학
자가 원자에너지를 실제적으로 이용하는 연구를 할 도덕적 권리가 있는지 여쭤봤을 뿐입니다. 그렇지 않나요? 보어: 기억이 안 나네. 하이젠베르크: 기억을 못하신다니. 아닙니다. 선생님은 바로 ... ...
미래 신소재 그래핀 자유자재로 접는 방법 찾았다
2016.07.17
안드레 가임은 흑연에서 그래핀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해 2010년 노벨
물리학
상을 받았다. 그 이전까지만 해도 그래핀의 투명하면서도 견고한 물리적 특성 때문에 관심이 높았지만 그래핀을 손쉽게 접을 수 있는 방법은 없던 상태였다. 이번 연구성과는 그래핀을 접을 수 있는 방법을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수십 년 동안 ‘영원한 감옥’으로 불렸다. 블랙홀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미국의
물리학
자 존 휠러는 블랙홀이 빨아들인 물체의 질량과 전하, 각운동량을 제외한 모든 특성을 파괴시킨다는 데서 “블랙홀은 흔적(hair)을 남기지 않는다”는 명언을 남기기도 했다. 어떤 물체가 블랙홀에 한번 빨려 ... ...
“부드러운 분야는 제가 최고입니다”
IBS
l
2016.06.02
및 통계물리 분과에서 실험
물리학
자로는 처음으로 위원장을 2년간 역임했다. 부산대
물리학
과 교수로 20년 가까이 재직하던 그는 2014년 8월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에 합류하면서 UNIST로 옮기게 됐다. 박 부연구단장은 “때마침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었는데, IBS 연구단에서의 제안한 기회는 큰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
2016.05.30
거기 화단 가득히 양귀비가 피어 있었다. 그것은 경이(驚異)였다. 그것은 하나의 발견이었다. 꽃이 그토록 아름다운 것인 줄은 그때까지 정말 알지 못했었다. - 법정, ‘무소유’에서 2001년 이무렵 필자는 남프랑스 그라스(Grasse)에 있었다. 그라스는 향료의 메카로 독일 작가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소 ... ...
양자역학 문제, 게임으로 푼다
2016.05.10
최선의 해법을 찾게 유도했다. - Scienceathome.org 제공 ● 컴퓨터 계산으로는 한계 최근
물리학
자들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양자역학의 원리로 작동하는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기존 디지털컴퓨터가 ‘0 또는 1’이라는 비트에 기초한다면 양자컴퓨터는 ‘0 그리고 1’이라는 큐빗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중력파를 검출하기 위한 35년에 걸친 웨버의 노력은 소득이 없었지만 많은 후배
물리학
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했고 1960년대 후반 MIT의 바이스 교수도 웨버의 실험을 생각하다가 중력파를 검출하는데 빛을 이용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떠올리게 된다. 한편 칼텍의 손 교수는 당시 유력한 후보로 ... ...
삶을 압축해 놓은 작은 공간, 큐브(Cube, 1997)
IBS
l
2016.02.03
기술하는 것이다. 질량은 어디에서 왔으며, 세계는 무엇으로 이뤄져 있는가와 같은
물리학
의 기본적인 궁금증을 풀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암흑물질 후보 중 하나인 액시온을 검출하는 것도 주요 연구 과제 중 하나다. “세상의 물질들을 구성하는 원리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 아는 ... ...
레이저가 보여주는 전자들의 흔적을 찾아
IBS
l
2016.02.02
만들었습니다. 2011년부터 4년간 노력한 결실이기도 했죠.” 그는 이 연구로 초고속 분자
물리학
분야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분자가 지닌 고유의 전자 궤도를 관찰할 수 있다면 다양한 화학반응의 과정과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수소 분자와 산소 분자가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18세 연상인 브리튼은 맨해튼프로젝트에도 참여했던
물리학
자로 생물로 관심을 돌려 생
물리학
을 연구했다(로이 브리튼의 삶과 업적은 과학카페 107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참조). 두 사람은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분야를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