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덕 바이오벤처 공동체의 촌장 인바이오넷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KIST) 생명공학연구소가
연구원
의 벤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
연구원
창업지원제도’의 첫 수혜자로 창업했다.구사장은 ‘미생물의 독소단백질을 이용한 생물농약개발’이라는 주제로 연세대에서 식품생물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구사장은 이 아이템을 들고 당시 대기업을 돌아다니며 ... ...
별은 매일 4분씩 일찍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국내 최초로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대전시민천문대가 지난 5월 3일 드디어 문을 열었다. 홍보도 제대로 안된 어린이날 1천명이 넘는 사람들이 전국에서 몰려들어 우리 국민도 이제 우주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줬다. 국내 최대 10인치 굴절망원경을 들여다보고 환호하는 어린이 ... ...
③ 1억종에 달하는 생물 다양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육상과 마찬가지로 심해에도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다. 심해에 사는 생물종 수만 1억에 이를 정도다. 그리고 심해에서는 미지의 새로운 생물을 만날 가능성이 아주 높다. 생물 다양성의 보고, 심해의 생물을 직접 만나보자.심해저에는 수만km의 커다란 산맥과 수천km에 이르는 해구, 수백km 뻗어있는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1600년대 토리첼리는 진공상태를 처음 만들었다. 이때 그가 만든 공간에는 기체가 하나도 없었을까. 아니다. 단지 기체분자가 대기 중보다 더 적게 있을 뿐이었다. 지금도 과학자들은 진공의 정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왜일까.우리가 숨쉬는 대기는 질소 약 78%, 산소 약 21%, 그리고 미량의 ... ...
지식정보사회에 필요한 능력 어떻게 키울까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그 사이에 우리나라 인구가 4배로 늘어나지는 않았을 것이다.그는 다시 에너지경제
연구원
홈페이지를 찾아갔다. 1일당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1일당 소비량이 1980-1999년에 그 증가량이 3.3배 정도였다. 따라서 인구증가가 에너지 사용량의 큰 요인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릴 수 ... ...
다이슨의 상상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오펜하이머(J. R. Oppenheimer)와 2년간 함께 연구했다. 그 후 영국으로 돌아와 버밍엄 대학의
연구원
을 거쳐 1953년에 프린스턴 대학 고등연구소의 교수로 임명됐다. 그는 1957년에 미국 시민권을 획득했다. 1965년에 세명의 이론 물리학자 파인만, 슈윙거, 도모나가가 공동으로 노벨상을 받았다. 이 세사람의 ... ...
자정 결투장면에 뜬 초승달이 엉터리인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도시 아이들에게 ‘밤하늘에 별이 몇개나 있을까’ 하고 물어보면 보통 열개, 스무개라고 대답한다. 이런 아이들이 밤하늘에 별이 은가루를 뿌려놓은 것처럼 무수히 빛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자라는 아이들과 같을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더욱 놀라운 일은 많은 도시 아이들이 달빛에 사람 그 ... ...
3차원 입체사진, 애너글리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얻는 방식으로 두장의 입체사진을 찍는다. 이것이 지구로 전송돼 오면 NASA의
연구원
들은 직접 가지 않고도 화성 표면의 입체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이것은 화성표면 연구에 매우 도움이 된다. NASA가 애너글리프를 이용하는 이유는 단지 재미 이상인 것이다.애너글리프는 지질학교육에도 쓰인다. ... ...
장애아 애덤 킹의 아름다운 시구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계속 갖고 있던 염교수는 임박사와의 만남을 통해 아이오와대 생체공학 연구실의 책임
연구원
으로 가게 됐다.염교수는“기계공학자가 중공업으로만 진출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이다. 여러 방면으로 공학자가 진출할 수 있다는 열린 마음과 다양한 관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특히 ... ...
폐수도 처리하고 전기도 얻고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효율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연구가 더이상 진척되지 못했다. 그러던 중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 수질환경연구센터 김병홍 박사팀이 지난 1998년 산소 대신 철이온을 전자전달자로 이용하는 미생물을 발견해 세계 미생물학계에 발표하면서 새롭게 부각됐다.일반적으로 산소를 호흡하는 미생물은 ... ...
이전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