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d라이브러리
"
가장
"(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생물의 유전체를 수정할 수 있게 된 인간크리스퍼의 발견은 유전자 수정 붐을 일으켰다.
가장
먼저 2013년 12월 동물 세포에서 유전자 수정이 가능하다는 사실 을 확인했다. 곧바로 실험 동물의 대표 격인 마우스의 수정란에 유전자를 삽입하는 데 성공했다는 연구 결 과도 나왔다.기존에도 ...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손바닥 정맥 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가 부착된 ATM기기를 생산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가장
손쉽게 볼 수 있는 생체 인증수단은 휴대전 화의 지문 인식 기능이다. 애플은 아이폰5S부터 지 문인식 기능을 추가했다. 삼성 역시 ‘갤럭시5’ 이후 모 델부터는 지문인식으로 휴대전화 잠금을 풀 수 있다. ... ...
INTRO. 도시, 지진, 빅데이터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흔들어 놓는 지 진 앞에서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다. 지진은 자연재해 중에서 도
가장
위험한 놈이다. 예고 없이 발생하고, 발생과 동시에 피해가 생 긴다. 건물과 시설이 많은 도시일수록 피해가 막심하다. 하지만 인간은 지진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포기하지 않는다. 빅데이터 를 이용한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여진이 이어졌다. 또 네팔이 속한 레서 히말라야 땅은 히말라야 땅 중에서 지반이
가장
무르다. 주변 지역보다 지진이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도시, 지진, 빅데이터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 ...
수성 탐사선 ‘메신저’ 편히 잠드소서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처음으로 수성 궤도에 진입했다. 태양계 행성 중 태양과
가장
가까이 있는 수성은 크기가
가장
작고 궤도가 극단적인 타원 형태를 띠고 있어 진입하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밤낮으로 온도가 600℃씩 오르내리는 극한 환경이다.메신저호는 이런 어려움을 이겨내고 4년 1개월 14일 동안 하루 두 차례씩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보통 할로겐 음이온으로 여섯 개의 면 중앙에 위치한다(왼쪽 그림). 현재 태양전지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는 메틸암모늄납요오드(CH3NH3PbI3)다. 페로브스카이트가 처음부터 탄탄대로를 걸었던 것은 아니다. 초기에는 효율이 5% 내외였다. 교착상태를 해결한 것은 영국 옥스퍼드대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급히 달려갔다. 효모 몸 안에 평소와 달리 작은 주머니가 가득 차 있었다. "인생에서
가장
잊지 못할 순간이었죠. 세포가 물질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작은 주머니(운반 소낭)를 처음으로 발견한 거니까요." 노벨상과의 인연은 이렇게 시작됐다. 셰크먼 교수는 그때부터 30여년 동안 세포 내에서 운반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선택한 사람은 각각 3%와 2%에 불과했다. 등산보다는 게임(남성)이나 음악감상(여성)을
가장
좋아하는 취미로 선택하는 경향이 강했다. 사실 이런 설문조사를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주말 산행을 해본 적이 있다면 등산객의 대부분이 중년이라는 사실을 이미 알아차렸을 것이다.이런 경향은 나이 ... ...
내 손은 동물농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작품을 하나 그릴 때마다 온갖 열정을 쏟아요. 한 번에 모든 사랑을 쏟아 부어야
가장
멋진 그림이 완성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제가 만든 모든 그림을 사랑한답니다.Q 야생동물 보호활동을 많이 하시는 이유가 있나요? 동물을 사랑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에요. 작은 동물이라고 하더라도 지구 ... ...
세상에서
가장
큰 블랙홀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7배나 더 많은 에너지를 뿜어냈지요. 우 교수는 “이번 퀘이사와 블랙홀은 우주의
가장
밝은 등대와 같으며, 앞으로 초기 우주를 연구하는 데 반짝이는 등대가 되어 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이전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