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내뱉으면 될 것이다. 운동량이 보존되므로 우리 몸은 입김이 가지고 나가는 운동량과
크기
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운동량을 가지고 움직일 것이기 때문이다. 입김의 질량이 작기 때문에 아무리 세게 불어도 우리 몸의 속도는 그리 크지 않을 것이다. 더 빠르게 가고 싶으면 돌멩이를 주워 반대 ... ...
공룡은 멸종하지 않았다. 지금도 하늘을 날고 있을뿐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받는 연약한 새끼는 원시깃털로 덮여있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새끼는 점점 거대한
크기
로 자라면서 털이 빠져버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솜털로 싸여있는 갓 태어난 티라노사우루스의 모습이 앞으로는 그리 낯설게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그렇다면 공룡은 어떻게 날 수 있게 됐을까? 새는 ... ...
1. 개성을 뽐내는 똑똑한 재료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잇기 전에 저온에서 파이프의 양끝을 확대해 연결시킨다. 온도가 올라가면서 원래
크기
로 돌아오면서 강하게 연결된다.형상기억합금은 기억력이 좋을 뿐 아니라 탄성 효과도 뛰어나서 부러진 뼈를 부목하는 금속판으로도 쓰인다. 파이프 접합과 비슷한 원리로 수술 후 자연스럽게 골절부를 ... ...
5. 신소재 백화점 우주복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가능한 부품들로 구성돼 있다. 예를 들어 윗몸통, 아랫몸통, 팔, 장갑 등이 서로 다른
크기
로 제작돼 남녀에 따라 또는 부여된 임무에 맞게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 우주복은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다.장갑 한 짝에 2천4백만원우주복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기능을 지닌 ... ...
4. 인간을 닮으려는 바이오 소재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물질도 단량체(monomer)가 되면 인체에 문제를 일으킨다. 중합체에서 단량체로 된다는 것은
크기
가 작아진다는 의미다. 이것은 단량체가 보다 쉽게 몸속을 돌아다니면서 면역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커진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백혈구는 덩치가 큰 중합체에서는 반응하지 않지만 작은 단량체는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약1/100
크기
이다.초점거리 1000mm의 렌즈로 필름상에 지름9.8mm가 된다.일반필름의
크기
가 24×36mm이므로 초점거리가 2000mm정도면 달의 전체 모습이 필름 전면에 꽉 차게 된다.직초점 촬영망원경에 어댑터를 사용해 카메라 몸체를 붙여 망원경이 카메라의 망원렌즈 역할을 하게 된다.예를 들어 구경 100mm ... ...
냄새와의 전쟁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냄새는 어떻게 맡나?사람은 냄새를 어떻게 맡을까. 비강 뒤쪽 천장에 존재하는 우표
크기
(1-2cm2)의 후각상피에서 인식된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후각 세포와 지지세포로 구성돼 있는 후각상피는 점막에 의해 덮여있다. 후각 세포 끝에는 후각섬모가 존재하는데, 이곳에 분포하는 냄새 수용체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병유리병이 손바닥에서 떨어지지 않고 붙어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왜그럴까?작은 주스병
크기
의 유리병이 다루기 편하다. 갑자기 뜨거운 물을 부으면 유리병이 깨질 수도 있으므로 미지근한 물을 부어 미리 데워두는 것이 좋다. 끓기 직전의 물을 사용하면 되고, 손바닥으로 누르는 시간은 1분 정도면 ... ...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현실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뼈화석을 찾아 비교하는 일이다. 즉 옛사람 뼈의
크기
와 생김새가 어떤지를 현대인의 특성에 견주어보는 것이다. 최근 선진국에서는 뼈로부터 추출한 DNA를 이용해 민족의 계보를 밝히는 일이 본격화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이런 첨단 기법의 적용은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것이 마치 빨래판 위를 젓가락으로 긁을 때의 소리같다. 옴개구리의 울음소리는 몸집의
크기
에 따라 높낮이가 달라진다. 즉 덩치가 클수록 저음으로, 작을수록 고음으로 울어댄다. 만일 자기보다 낮은 소리로 우는 동료가 나타나면 피하는게 상책일 것이다. 덩치가 큰 놈과 영역다툼을 벌여봐야 ... ...
이전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