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89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촉즉발 상황, 北 포탄 날아오면 어떻게 대응할까
2015.08.23
이후 서해 일원에서 사용되는 영국산 장비 ‘할로(HALO)’나 우리나라 국방과학연구소(ADD)
연구진
이 최근 개발한 ‘에이플러스’ 등이 여기 속한다. 음향탐지장치는 쿵 하는 대포 발사 소리를 듣고 대포까지의 방향과 거리를 계산하는 장비로 대포병레이더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것이 ... ...
맛있는 토마토를 고르는 과학적 방법
2015.08.23
1920년대 토마토 재배 농가에서 우연히 발견돼 현재는 대표 품종이 됐다. 하지만 미국
연구진
은 균질성숙 토마토 품종들이 가진 돌연변이 유전자가 토마토의 풍미를 저해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제임스 지오반노니 미국 농무부 연구원은 코넬대,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와 ... ...
남극 해저 2km 중앙해령에서 열수 분출구 새로 발견
2015.08.22
사진 왼쪽부터 3개)와 일곱다리 불가사리(맨 오른쪽)를 새로 발견했다. - 극지연구소 제공
연구진
은 이번 탐사에서는 신종 열수 생명체인 ‘키와 게’(Kiwa속 게)와 남극 심해 ‘일곱 다리 불가사리’도 채취하는 데 성공했다. 이 생명체들이 발견됨으로써 남극권에는 저위도 중앙해령과 구분되는 ... ...
수질 감시에는 ‘깡통 로봇’이 장땡
2015.08.21
수 있다. GPS가 달려 있어 조사가 끝난 뒤에는 로봇의 위치를 확인해 건져 올 수 있다.
연구진
은 센서 로봇 기술을 국내 중소기업에 이전해 1년 안에 상용화할 계획이다. 최 연구원은 “로봇 양쪽에 프로펠러가 달려 있어 제어 프로그램만 입력하면 임무를 마친 로봇이 정해진 위치에 모이도록 만들 ... ...
로봇 팔 끼고 사과 따기 게임 해보실래요?
2015.08.21
산업용 로봇에만 쓰이던 경량 고출력 통합 구동 모듈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모듈은
연구진
이 자체 개발했다. 그 덕분에 로봇 팔을 상용화할 경우 수입 로봇 팔을 쓸 때보다 가격을 대폭 낮출 수 있다. 현재 외국산 재활 로봇은 1억5000만 원부터 최고 3억5000만 원까지 한다. 기계연구원은 국산 모듈을 ... ...
은하수 저편에서 ‘유령입자’ 샘솟는다
2015.08.20
가운데 가장 에너지 수준이 높은 입자들은 궤적의 방향성이 무분별한 특징을 보였는데
연구진
은 이들이 우리은하 밖에서 오는 입자들이라고 추정했다. 연구에 참여한 카르스텐 로트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새로운 방식으로 고에너지 중성미자들의 출처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 ...
세포 자정작용 이용…신개념 항암 치료법 나왔다
2015.08.19
그만큼 독성이 높은 합성물질을 사용해야 해서 실제 치료에 적용하기 어려웠다.
연구진
은 유전자 기술을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암 조직으로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분자 코팅법을 고안해 RNA 전달체를 제작했다. 이를 활용하면 정맥주사를 맞는 방식으로 손쉽게 치료할 수 있는데다 ... ...
은나노 와이어로 분자 단위 유해물질 잡아낸다
2015.08.19
있어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는 기존 기판보다 제작하기 쉽고 제작비도 훨씬 저렴하다.
연구진
이 개발한 기판을 시중에 나온 휴대용 광학 분석장치에 적용해 성능을 실험한 결과 유해물질의 농도가 ppb(10억 분의 1) 수준까지 확인됐다. 김 박사는 “기존 기판과 비슷한 성능의 기판을 값싸고 ... ...
이산화탄소를 탄소나노섬유로 만드는 간단한 방법
2015.08.19
제공 미국
연구진
이 기후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산업계 다방면에 사용할 수 있는 소재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했다.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별다른 처리 없이 바로 투입하는 식으로 공정이 간단해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모두 해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스트라우트 릿츠 미국 ... ...
생각만으로 로봇 움직이게 만든다
2015.08.19
뇌파를 해석한 신호를 받아 외골격이 움직인다. - 고려대 제공 한국과 독일 공동
연구진
은 사람이 서로 다른 시각신호를 바라볼 때 나오는 뇌파를 정밀하게 분류하는 소프트웨어와 이를 이용해 외골격을 조종하는 시스템을 고안했다. 이를 위해 하체 보조 외골격 로봇 위에 서로 다른 주기로 ... ...
이전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