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효과가 있다고 기록된 약재로부터 치료제를 찾기 시작했다. 200개 가량의 후보를 검토한
결과
1971년 개똥쑥에서 아르테미시닌을 추출해 구조를 확인했다. 1979년에는 말라리아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도 직접 확인했다. 아르테미시닌은 1990년대부터 말라리아 치료제로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투여 후 4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도전! UNIST ➓ 로드니 루오프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삼박자’ 갖춘 인재와 함께 꿈의 재료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전체 분자 사슬의 중간적인 특징을 가진 삼량체 신호를 추정하고 찾아내는 거죠.”실험
결과
는 대성공이었고, 루오프 교수는 대학원 1학년생 신분으로 세계 최초로 시안화수소 삼량체를 발견하는 놀라운 성과를 거뒀다.세상에 없던 탄소재료 합성에 도전한다!여기까지만 들으면 범접할 수 없는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만든 새 날개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전체의 강도를 일정하게 만든 날개보다 36%나 더 높은 추력을 냈습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
를 새의 날갯짓이나 물고기가 지느러미를 이용해 헤엄치는 모습을 딴 생체모방로봇에 적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 ...
[수학뉴스] 1729의 숨겨진 의미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라마누잔의 이론이 얼마나 앞섰는지 알 수 있는 좋은 예”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
는 오노 교수가 펴내는 수학학회지인 ‘정수론 연구’ 10월 14일자에 실렸습니다 ... ...
[수학뉴스]수학 성적을 올려주는 앱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그 후 실험에 참가했던 아이들의 수학 성적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비교했습니다.그
결과
읽기 앱을 사용한 그룹은 아무 변화가 없는 반면, 수학 앱을 사용한 그룹 가운데 부모와 함께 사용한 아이들은 수학 점수가 올랐습니다.버크위츠 교수는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수학 앱을 사용한 아이들의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대뇌화 지수는 뇌의 질량을 몸무게의 3분의 2승으로 나눈 값에 상수를 곱해 구한다. 그
결과
로퍼 교수는 약 290만 년 전에 살았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부터 약 200만 년 전 살았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 약 140만 년 전에 살았던 호모 하빌리스, 약 130만 년 전에 살았던 호모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쪽을 비껴난 방향으로 얼마나 나아갈지, 다시 몇 도만큼 방향을 바꿀지는 모두 ‘계산된
결과
’다.경기에서는 목표 지점에 가장 빨리 도착해야 한다. 그래서 전술가는 목표 지점 방향으로 움직이는 속도가 가장 빠른 길을 선택한다. 이 속도를 ‘유효 속도’라고 한다. 지그재그인 길은 겉보기와 ... ...
“너 이제 TV 켤 거지?” 점쟁이 인공지능 탄생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사람의 동작을 보면 그 사람이 1분 뒤 어떤 동작을 할지 알아 맞출 수 있는 인공지능이 개발됐다. 미국 조지아공대 연구팀은 사람의 행동을 6개월 동안 1분 ... 모든 정보를 알아서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이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
는 컴퓨터 학회 ACM의 학술저널 9월호에 ... ...
[과학뉴스] ‘딸내미’는 여름에 태어날수록 건강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여름에 태어난 아기는 성인이 됐을 때 더 건강하고 키가 크다는 연구
결과
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대사과학연구소 존 페리 교수팀은 태어난 계절 ... 정도가 계절마다 다르기 때문에 이런 차이가 생겼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 연구
결과
는 학술지 ‘헬리온’ 10월 12일자에 실렸다 ... ...
바이러스도 ‘생명의 나무’에 그려 달라!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대신, 잘 변하지 않는 단백질 접힘 구조를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시도했다. 그
결과
바이러스와 세포에서 공통적인 접힘 구조 442개를 발견했다. 연구진은 이것을 바탕으로 계통도를 완성했다.구스타보 교수는 “바이러스가 (세포와 바이러스의 공통조상으로서의) 고대세포에서 유래했으며, 오늘날 ... ...
이전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