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d라이브러리
"
존재
"(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공룡 IBM' 쓰러뜨린 개미군단 다운사이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되니 위로부터의 흐름과 아래로부터의 흐름이 한 지점에서 만나게 된다. 이 교차점에
존재
하는 것이 각각의 PC를 유기적으로 연결해내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즉 랜(LAN)인 것이다 ... ...
아주 작은 악한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정말로 아주 악독하며, 소설을 능가할 정도로 복잡한 생명 주기를 가지는 생명체가
존재
하고 있다. 그것은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균이다. 말라리아는 인체에 위험하고 갈수록 증가추세에 있으며 아직도 완전히 치료되지 못하고 있다.말라리아균은 포자를 생성하는 단세포 기생 유기체인 포자충이라 ... ...
생물 - 눈, 직경 24㎜의 정교한 카메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홍채로 된다.■ 망막 : 안구 1개에 약 1억 2천 만개의 간상세포와 약 7백만개의 원추세포가
존재
하여 시각을 형성한다. 간상세포는 O.11x이하의 밝기에서 반응하며 명암을 구별할 수 있다. 그보다 밝을 때는 원추세포에서 반응하는데 이 세포는 색깔을 구별할 수 있다. 원추세포에 이상이 생기면 색맹이 ... ...
염색체 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대량생산, 오염물 제거에 이용할 수 있다.가령 서울 쓰레기매립지의 하나인 난지도에
존재
하는 환경미생물의 활용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수십년간 집하된 난지도 쓰레기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부패해가고 있다. 산업폐기물이나 화학수지 같은 것들은 부패가 어렵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 ...
첨단조선공학으로 추적한 노아방주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여겨지는 아라랏산에서 그 물체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여기서 우리는 노아방주의
존재
여부는 별개로 접어두더라도 그 방주가 과연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선박설계 개념에 부합되는지 여부 또한 매우 흥미있게 살펴볼 가치가 충분하다.절대자의 인간에 대한 사랑성경 창세기 첫부분을 보면 ... ...
자외선 오존층 뚫고 지구 위협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연구는 18세기말과 19세기초 사이에 허셀과 리터가 각기 가시광선 외에도 자외선이
존재
하는 태양광 스펙트럼을 발견하고서부터 시작되었다. 지표 도달 자외선 태양광의 8%태양은 그 생성 이래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 대한 자유에너지 공급원으로서 지구표면에 매분 단위면적(㎠)당 8.4J 정도의 ... ...
화학- 모든 물질의 변화에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 적용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구리와 결합하고 있는 원소를 제거해야 한다.알루미늄은 대개가 산화물의 형태로
존재
하는데, 대표적인 알루미늄광물은 보크사이트(${Al}_{2}$${O}_{3}$·2${H}_{2}$O)다. 마찬가지로 순수한 알루미늄을 얻어내기 위해서는 알루미늄과 결합하고 있는 산소를 제거해야 한다.비교를 쉽게 하기 위해서 구리의 ... ...
화석속의 DNA추출, 1억년전 공룡 되살릴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중생대의 공룡을 현대 유전공학으로 되살린 공상과학영화 쥐라기 공원이 화제다. 고대 호박속에 갇힌 곤충의 뱃속에서 공룡의 DNA를 추출, 현대에 공룡을 되살린다는 소설과 영 ... 프로젝트(원자폭탄 개발사업)와 마찬가지로 21세기 인류의 운명을 위협하는 무서운
존재
가 될지도 모른다 ... ...
인텔리전트 겔 개발 인공근육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적절하게 반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겔은 외계에 순응하는 성질을 가진 대단히 매력적인
존재
다. 런던 대학 킹스칼리지의 로스 미피 교수팀은 자벌레와 같이 발달된 겔을 개발하고 있다. 이것은 바로 인공근육으로의 첫걸음인 셈이다. "인텔리전트 겔은 앞으로 단단함이 굳건히 지배하고 있던 ... ...
원핵생물에도 생체시계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약24시간 주기로 빛났다. 배양온도를 바꿔도 같은 결과가 나오는 등 생체시계의
존재
는 의심할 여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곤도 박사팀은 이 방법을 더욱 발전시켜 애너비너의 증식군의 실험에서도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제는 많은 콜로니를 자동관측 분석하는 시스템의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 ...
이전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