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명령을 내려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띄우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여기서 깜빡거리는 밑
줄
(...)이 있는데 이를 커서라고 한다. 커서라는 것은 자판(키보드)으로 숫자나 문자 부호 등을 입력할 때 글자가 입력될 위치를 가리키는 것이다.독일에서 잘 훈련받은 명견이 미국의 한 부자에 의해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한계점까지 전파자원을 활용하는 초고주파 전자회로들이 통신의 공간제약성을 해결하여
줄
것이다. 이와 함께 반도체는 전자 회로만을 위한 기능에서 탈피하여, 독립적인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와 생체 세포 규모의 미세기계를 제작하는 기술로 확장되리라 예측된다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가고 있다. 가위 인류의 꿈과 지성활동의 힘은 위대하며 인류를 창조적인 미래로 인도해
줄
것이다.여기 또하나 미래를 설계하는 과학인의 꿈이 있다. 인간의 생명설계도를 밝혀내려는 생명과학자들의 생명현상에 대한 호기심은 하루아침의 꿈이 아니다. 아마도 인류가 지구상에 생존하는 한 계속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많은 수의 화합물의 생산공정을 설계하고 개선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다.마커스교수의 업적은 이같은 반응속도이론의 발전에 광범위한 기여를 한 데 있다. 특히 이번에 노벨상 수상업적으로 지목된 전자전달반응에 관한 이론은 분자의 산화 및 환원과정을 비교적 ... ...
(1) 공룡은 어떤 동물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주둥이 모양을 하고 있다. 몸의 길이가 약 5m에 이르는 대형 공룡이다. 검룡은 잔등에 두
줄
의 삼각형 골판이 있고 꼬리 끝에는 날카로운 골침이 있어 적의 기습을 방어했다. 갑옷룡(그림 7)은 백악기 말에 나타났으며 온 몸을 갑옷과 같은 골판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데코돈 목에서 갈라져 나온 ... ...
가까이 하기엔 너무나 먼 도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p과 같이 명령을 준다. 여기서 /w와 /p는 각각 wide(옆으로 넓게)와 pause(한 화면씩 끊어서)의
줄
임말이다. /(슬래시)는 어떤 명령어에 추가로 선택사항을 덧붙인다는 뜻이다.명령어를 친 다음에는 엔터키를 꼭 눌러야 한다. 예전에는 이 엔터키를 리턴키(return key)라고 불렀는데 그 이유는 타자기에서 이 ... ...
노란띠 하늘소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한다. 머리 앞가슴 촉각의 자루마디는 짙은 남색이며, 광택이 나는 딱지날개면에는 두
줄
의 폭이 넓은 노란띠 모양의 반문(斑紋)이 있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한반도 전역에 넓게 분포한다. 몸의 길이는 17~21mm정도 ... ...
지금부터 20년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0년 뒤졌다고 해서 우리가 계속 20년 뒤를 쫓아갈 이유는 없다. 앞으로 20년동안 그 격차는
줄
어들 수 있고, 늘어날 수도 있다. 그것은 우리의 행동 여부에 달려 있다. 우리는 대부분 관심이 있어도 누군가가 직접 요구하거나 참여할 기회가 주어지지 않으면 행동을 취하는 데 망설이게 된다. 사람들은 ... ...
퀘이사와 전파은하는 동일한 천체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에너지원인 별들이 주변에 얼마나 많이 존재하는가 하는 문제가 그 사실을 해명해
줄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또 다른 의문은 물질들이 빨려 들어간 다음에 왜 제트로 분출되는가 하는 것이다. 아무도 이 문제를 명확히 해결하지는 못했지만 이에 관해서는 현재 여러가지 의견이 제시되어 있다 ... ...
감전 사고의 주 원인은 전압아닌 전류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이때 1초당 발생하는 열의 양은 전류의 제곱에 저항을 곱한 것과 같다. 이것이 유명한
줄
의 법칙인데, 의학적인 관점에서도 이 공식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감전시 실제 조직 손상을 일으키는 것이 바로 이 열이기 때문이다.60Hz의 교류가 흐를 때 약1.1mA의 전류에 노출되면 짜릿함을 느끼게 된다. ... ...
이전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