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뉴스
"
핵심
"(으)로 총 6,52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번엔 정말 금연? 성공 실패는 이미 정해졌다
2015.05.13
담배를 필지 말지를 결정해 뇌로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금연에 있어
핵심
역할을 한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졌다. 뇌섬엽 부위를 다친 사람이 바로 흡연에 대한 욕구를 잃는다는 연구결과도 있지만, 뇌섬엽과 뇌의 다른 부위 간 연결고리를 찾아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맥넌 교수는 ... ...
“수포자 되살리는 스토리텔링, 수학동아가 딱이죠”
2015.05.13
수학교육을 시도하고 있는 수원 청명고 송윤준 교사. 송 교사는 수학동아에서 아이템과
핵심
내용을 얻고, 서적과 인터넷 조사로 내용을 보강해 발표와 토론을 유도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현장 교사들은 실생활과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업에는 대체적으로 동의하고 ... ...
국내 빅데이터 플랫폼… 관광-의료-농업의 미래 연다
동아일보
l
2015.05.12
강원도와 함께 11일 강원 춘천시에 개소한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강원 혁신센터)의
핵심
키워드는 ‘빅데이터’다.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방대한 규모의 데이터를 뜻하는 빅데이터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려는 기업들이 널리 활용하고 있다. 네이버는 강원 혁신센터를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그림이라는 말이다. 진핵세포(왼쪽)와 원핵세포는 크기나 복잡도에서 차이가 크지만
핵심
만 보여주는 도식적인 비교에서는 제대로 느낄 수 없다. 원핵세포에서 진핵세포가 어떻게 진화했는가는 지난 반세기에 걸쳐 뜨거운 논란거리다. - 위키피디아 제공 그렇다면 이렇게 크고 복잡한 진핵세포는 ... ...
[동아광장/천영우]한미 원자력협정과 원자력 정책의 미래
동아일보
l
2015.05.07
물질 실험을 비밀리에 했던 ‘전과자’로 인식하는 것이 현실이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
핵심
우방들이 우리의 미신고 핵 물질 실험을 국제원자력기구(IAEA)와의 안전조치협정 위반 행위로 간주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를 시도한 것이 불과 11년 전 일이다. 협정의 개정 협상이 개시된 뒤에도 시도 ... ...
대면적 유기반도체 제작 길 열렸다
2015.05.06
제난 바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대면적 유기 반도체 박막을 만드는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최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등 유기물 기반 전자소자가 크게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유기반도체 소자를 만들 때 소자들 사이의 간격을 좁혀 ... ...
자기 혼자 걸어와 침대 앞에 딱~ ‘아이언맨 슈트’ 개발
2015.05.06
교수팀은 자율 보행이 가능한 노약자나 하체마비 환자용 입는 로봇 ‘쿠엑스(KUEX)’의
핵심
기능을 구현하고 마무리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5일 밝혔다. 이 로봇이 상용화되면 침대나 휠체어 앞까지 로봇이 직접 걸어와 입기 편한 자세로 대기할 수 있게 되므로 노약자나 장애인들의 생활 개선에 큰 ... ...
강아지 분리불안 극복 방법,
핵심
교육… 어떻게 진행할까?
동아닷컴
l
2015.05.04
[동아닷컴] ‘강아지 분리불안 극복 방법’ 국내에서 가장 흔한 강아지 행동치료 문의는 ‘분리불안’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반려견의 분리불안 증상을 극복할 방법에 네티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호주 행동치료 전문 수의사 섹셀에 따르면 전체 반려견의 20%가 분리불안 증상을 가진 것 ... ...
남보다 2배 빨리 노화, 조로증 원인 밝혔다
2015.05.03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내 ‘사이언스’ 30일자에 발표했다. 노화의
핵심
적 원인 중 한 가지를 밝혀낸 것으로 다양한 노인성 질환 치료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유전자 조작 기술을 이용해 조로증의 하나인 ‘워너증후군’ 연구를 통해 노화의 메커니즘을 ... ...
‘7080’ 대표곡 ‘연’ 발표 35년 만에 1집 앨범으로 컴백, 조진원 연세대 교수
2015.04.30
수 있는 것이다. 조 교수의 오글루낵 연구는 2006년 큰 성과를 냈다. 암세포를 차단하는
핵심
단백질인 ‘p53’과 당뇨 합병증의 상관관계를 밝혀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에 발표한 것이다. 이때를 시작으로 조 교수의 연구도 술술 풀려 나갔다. 2013년에는 언더우드 특훈교수로 ... ...
이전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