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d라이브러리
"
가지
"(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화학반응을 결정하는 요인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면에서는 자발적이다. 종이의 연소 과정은 발열반응이고 무질서도가 증가하므로 두
가지
면에서 모두 자발적이다. 따라서 종이의 연소는 쉽게 진행될 것으로 생각되나 상온에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종이 연소반응의 활성화 에너지가 높기 때문이다. 종이를 연소시키려면 발화점 이상의 ... ...
윷놀이로 떠나는 수학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즉 윷놀이에서 모든 말이 말판에 있는 방을 지나서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는 2147483648
가지
다. 따라서 윷놀이에서 이기려면 2147483648
가지
중에서 가장 좋은 방법을 택해야 한다.미분과 적분궁극의 윷놀이 불패 전법?윷가락을 던지는 뛰어난 손놀림과 말을 운용하는 훌륭한 작전! 윷놀이에서 승리하는 ... ...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활성화시켜 이식된 장기를 공격하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돼지세포에서 이 2
가지
를 동시에 발현시킬 경우 거부반응을 상당히 약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지금도 장기기증자가 턱없이 부족하지만 고령화가 심해질수록 장기 수요는 급증할 것입니다. 이종장기 연구가 시급한 이유죠.” 설 ... ...
공룡 최초의 깃털은 과시용?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새의 깃털은 나뭇
가지
처럼 복잡한 구조로 돼 있다. 굵은
가지
에서 잔
가지
가 뻗어 나오는 것처럼 중심에서 뻗어 나온 2차 깃이 있고 2차 깃에서 다시 실처럼 가는 3차 깃이 뻗어 있다. 실처럼 가는 3차 깃의 끝은 갈고리처럼 돼 있어 주변의 2차 깃이나 중심에 단단히 연결돼 ... ...
‘단백질구조예측대회’ 2연패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구조만을 갖는다고 가정할 때, 아미노산 분자 두 개가 서로 결합할 때 가능한 구조는 9
가지
가 된다”며 “아미노산 100개로 이뤄진 사슬이 갖는 구조의 가능성은 3100 즉 1047보다도 큰 천문학적 수로 가장 안정된 구조를 찾기 위해 이 모든 경우를 계산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 ...
[물리]운동량과 운동에너지의 차이점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쓰러뜨릴 수 있다. 이때 속도가 2배 빠른 총알은 첫 번째 총알보다 4배 큰 운동에너지를
가지
며 4배의 거리를 관통한다.(나) 우리가 알고 있는 원자와 아원자에 관한 대부분의 지식은 충돌을 관측하는 과정에서 얻어진다. 입자빔을 표적에 쏘아 떨어져 나오는 파편들의 운동을 분석하는 것, 차가 ... ...
현지취재_진화론이 살아 숨 쉬는 다윈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하고, 분화되기 전의 종과 대조해 진화 여부를 밝히기도 한다. 다윈의 계통수에 새로운
가지
를 더하며 지금도 진행 중인 진화의 증거를 찾는 셈이다.다윈이 수집한 100여 개 동물 표본다윈센터의 동물학자 존 애브렛 박사는 “다윈센터의 표본은 총 7000만점에 이르기 때문에 운이 좋아야 새로 발견된 ... ...
소음 잡는 알리바이 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듣기 때문이다. 이런 선택적 소리인지 과정을 ‘칵테일파티효과’라고 한다. 여러
가지
소리가 동시에 들릴 때 그 중에서 특정 음원이나 특정인의 음성에 주목하면 다른 소리가 들리지 않는 심리현상이다.최근 영국 옥스퍼드대의 앤드류 킹 박사가 칵테일파티효과에 대한 흥미로운 실험을 해 ... ...
버릴 곳 없는 국민생선 명태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자리는 명태가 차지해야 한다.명태를 국민생선이라고 부를 수 있는 또 한
가지
이유가 있다. ‘본초강목’을 포함한 중국 문헌에는 명태가 기록돼 있지 않다. 일본에서는 명태를 대구의 한 종류로 보고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으며, 서양에서도 명태를 특별하게 취급하지 않았다. 유독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진핵생물의 유전자와 비슷하다면 설득력은 더욱 높아진다. 바로 미미바이러스 게놈이 두
가지
모두를 만족시켰다.바이러스에 기생하는 바이러스라울 교수팀은 2008년 9월 4일자 ‘네이처’에 또 다른 놀라운 사실을 발표했다. 프랑스 파리의 한 냉각탑에서 찾은, 미미바이러스와 비슷하지만 좀 더 큰 ... ...
이전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