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3. 혈액형따라 성격·질병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암과 혈액형 항원 : 암조직은 점진적으로 A B H항원을 소실시킨다. 소실의 정도는 질병의
양
과 정도에 따라 다르며, 항원이 완전히 소실되는 경우는 암세포가 다른 기관으로 전이(전파)될 때 일어난다. 치료를 하면 점차 원래 혈액형으로 회복된다. 다시 혈액형이 소실되는 것은 질병의 재발을 ... ...
물리- 엔트로피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눈이나 비가 오는 것을 포함해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은 물리적으로 보면 에너지 변환과정에 불과하다.우리는 보통 사무실에서 ... 약간의 원료만 있어도 막대한 에너지가 나오는 것이므로 앞으로 50억년 이상은 태
양
이 다 타서 없어지면 어쩌나 하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 ...
우유를 응고시키면 치즈가 된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젖은 흰덩어리로 변화돼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이 후에 치즈로 발전된 것이다. 이것은
양
의 위에 소화효소인 레닐라제가 남아서 젖을 응고시킨 것이다.이처럼 우유의 온도를 27~32℃로 유지시키고 단백질 응고 효소인 레닐라제를 넣어주면 우유속의 단백질, 특히 카제인이 응고된다. 이것은 ... ...
(1) 우리은하 중심부는 거대한 알코올공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별들 사이에 존재하는 가스나 먼지에 대한 여러 다
양
한 연구들은, 새로운 관측기술들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알려지지 않았던 많은 새로운 사실들을 쏟아내고 있다. 또 이를 해석하기 위한 새로운 이론들도 활발히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연구들은 천문학자들 ... ...
인체시계는 하루가 25시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호르몬리듬을 맞추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개년시계를 연구하는 궁극적이니 목적은
양
과 같은 가축의 생식주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찾는데 있다. 자연상태의 생식주기 하에서는 계절별로 고기맛이 달라지므로 사육사들에게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멜라토닌 ... ...
생물- 3억개의 폐포 통해 몸 곳곳에 산소공급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이
양
을 호흡량이라 한다. 한편 사람이 최대로 공기를 들이마셨다가 내뿜을 수 있는
양
은 남자가 약3천5백㎖, 여자가 약2천5백㎖인데 이를 폐활량이라고 한다.침대에 가만히 있을 때에는 1분에 약9ℓ의 공기가 필요하고, 앉아있을 때는 약18ℓ, 걸어갈 때는 27ℓ, 그리고 달릴 때는 55ℓ의 공기가 ... ...
우주공간 무엇으로 채워져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또 눈으로 보이지도 않고 만져지지도 않는 이론적으로만 예측되는 암흑물질도 엄청난
양
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많다. 이러한 이론 암흑물질이 진짜 존재한다면 아직도 미해결로 남아있는 우주의 수수께끼가 풀릴 수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개발한다해도 이들은 장치 자체를 슬그머니 투과해버리는 것이다.이외에도 각
양
각색의 소립자들이 우주에 존재할 수 있다. 입자물리학에서 예견하는, 아직 발견 안된 소립자들의 숫자는 바닷가의 모래알 만큼 많다. 그리고 매년 이러한 입자들의 숫자는 이름을 짓기 힘들 정도로 많이 증가한다.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못하는 상황이다. 1백여년에 걸친 연구에도 불구하고 과학자들은 인간의 뇌 세포의
양
이나 질과 지적인 능력 사이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 밝혀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 보도에 고무받은 미국의 과학지 '디스커버'는 같은 해 5월 다시 토머스 하비를 찾았다. 이들은 '과연 아인슈타인의 두뇌를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보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서 그 느낌이 다르겠지만 지구 대기안에 있는 미립자(微粒子)의
양
에 따라서 빛과 밝기가 자꾸 변한다. 붉은 표면과 밝은 표면이 공존하는 달의 모습은 매우 환상적인 모습이다. 개기월식 때 달빛의 변화를 주의깊게 관찰해볼 필요가 있다.올해 월식은 6월4일과 11월29일 ... ...
이전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