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잠수함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않지만 일단 한번 지켜보자고∼!‘잠수함이 뜨고 가라앉는 원리는 간단해요우와∼, 정말
직접
눈으로 보고도 믿을 수 없을 정도야. 여기서 이 아이디어를 생각해 낸 이성호 친구의 말을 안 들어볼 수가 없지.“잠수함에는 복잡한 기계 장치가 많지만 잠수함이 뜨고 가라앉는 원리는 의외로 간단해요.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소자가 출현하는 실마리를 열었으며 특히 트랜지스터 · 터널(에사키) 다이오드의 발명에
직접
기여했다게르마늄산염게르만의 GeH4의 H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킬기(基) · 알릴기 · 할로겐 등으로 치환된 것1789~1854 독일의 물리학자 전류 저항과 관련한 「옴의 법칙」의 발견자 에를랑겐 태생 ... ...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뇌 안에 운동보조 칩을 삽입하시겠습니까?” 담당의사가 그에게 물었다. 그는 지난 2025년 암벽을 등반하다가 추락해 목 아래가 마비됐다. 이런 ... 사람의 지능에 반하기보다 도움을 줄 수 있게 하기 위해 우리는 뇌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을 최대한 빨리 개발해야 한다 ... ...
철새는 죄가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직접
키우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도 비슷한 경로로 감염된다. 결국 철새, 가금류, 사람이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할 경로가 차단된다는 얘기다.질병관리본부는 “조류독감 인체감염을 막연히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만약을 대비해 “70만명분의 ... ...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있다. 송 박사는 미국, 호주 등에서 10여명이 참여해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직접
촬영하려는 프로젝트의 책임자다.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노정희 박사는 적외선 우주망원경으로 궁수자리의 삼렬성운에서 ‘별들의 인큐베이터’를 발견해 올해 초 미국천문학회에서 세계 언론의 집중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이르기 때문에 엄청난 중력을 갖는다. X선도 빨아들이기 때문에 찬드라 역시 블랙홀을
직접
관찰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블랙홀로 인해 들썩이는 주변의 천체에서 방출되는 X선을 포착했다.최근 김 박사는 ‘챔프’(ChaMP)에 빠져있다. 챔프는 찬드라 다중파장 프로젝트를 줄인 말로 찬드라 X선 ... ...
천문학자 울린 샛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극적이어서 1주일 간격으로 계속 관측해보면 상당히 드라마틱한 변화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금성 때문에 10년간 고생한 사나이금성에 대한 수많은 일화가 있지만 그 중에서 금성과 지독히도 궁합이 맞지 않은 한 사나이의 일화를 살펴보기로 하자. 18세기 중엽 천문학에서는 지구와 태양과의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대표적 온라인게임 '리니지'도 여기에 속한다약물을 지지체에
직접
담아 피부를 통해
직접
투여하도록 만든 치료제아픈 부위를 자극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해 통증을 없애는 일종의 진통제인체가 자극을 받으면 수용체가 반응해 어느 수준까지는 통증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이 상태까지를 통증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미치는 조그만 영향을 감지해 간접적으로 외계행성을 발견해 왔지만 송 박사팀은
직접
사진을 찍어서 외계행성을 찾아내려고 노력 중이다. 송 박사는 “이는 잠실야구장의 서치라이트 옆에서 반딧불 하나를 찾는 것만큼 힘든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사진촬영을 통해 최초로 외계행성이라고 ... ...
2. 다재다능한 중매쟁이 촉매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유용하다는 것을 알고는 있었지만 아직 박스 안의 반응을 체계적으로 일으키는 촉매를
직접
제조하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으니 말이다. 자리교환 반응을 본격적으로 활용하려면 무엇보다 먼저 잘 디자인된 촉매를 개발해야만 했다.선의의 경쟁촉매 개발 경쟁의 선두주자는 1972년부터 듀퐁의 ... ...
이전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