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의술
메디컬
메디칼
medical
뉴스
"
의학
"(으)로 총 6,485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바티스 연구성과 발표 현장 가보니
동아일보
l
2015.07.20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이 평균 10%대인 것과 대조적이다. 노바티스 생명
의학
연구소의 마크 피셔먼 소장은 “신약 개발에 앞서 연구자들이 희귀질환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인 만큼, 특히 질병 분석을 위한 연구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바젤=임현석 기자 lhs@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 ...
아프냐? 통증과 고통 느끼는 경로 다르다
2015.07.19
고통스러운 감정을 느끼는 원리를 밝히는 데 성공했다. 한성 워싱턴대 하워드휴즈
의학
연구소 박사팀은 뇌에서 통증을 감각으로 인식하는 경로와 고통스러운 느낌을 받는 경로가 별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국제학술지 ‘셀’ 16일자에 발표했다. 사람은 본능적으로 뜨거워 보이는 물체를 ... ...
뇌과학으로 분석한 영화 ‘인사이드 아웃’
2015.07.17
이후에는 눈물을 흘린 상황을 긍정적인 순간으로 기억했다. 이동우 상계백병원 정신건강
의학
과 교수는 “울음을 터뜨리는 것은 슬픔을 직시하는 방법 중 하나”라며 “일반적으로 슬픔은 부정적인 감정이라고 인식하는 탓에 피하는 경우가 많은데, 슬픔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때 감정이 정화될 ... ...
오늘 우울했니? 휴대전화에 물어봐
2015.07.16
사람은 평소보다 휴대전화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학술지 ‘
의학
인터넷저널(Journal of Medical Research)’ 1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평균 나이 29세의 참가자 29명을 대상으로 2주간 휴대전화 사용패턴을 분석했다. 그리고 참가자들이 하루를 마무리할 때 그날의 기분을 1~10의 ... ...
운동하며 물 ‘벌컥벌컥’ 건강에 악영향?
2015.07.13
나트륨 농도를 낮춰 ‘저나트륨혈증(EAH)’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학술지 ‘임상스포츠
의학
저널(Clinic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9일자에 발표했다. 저나트륨혈증은 혈중 나트륨 농도가 정상범위(135mmol/L)보다 낮을 때를 가리킨다. 1981년 이후 저나트륨혈증으로 14명의 선수가 사망했으며 사인은 대부분 ... ...
청력장애, 유전자 치료로 고친다
2015.07.12
난청 개선 약물을 개발하고 쥐 실험을 통해 효능을 확인해 학술지 ‘사이언스 중개
의학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8일자에 발표했다. 난청은 70개 이상의 유전자가 관여돼 있다. 그 중에서도 TMC1 유전자는 난청 원인의 4~8%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크다. 선천적 난청은 우성난청과 열성난청으로 ... ...
난소암으로 별세한 UNIST 교수의 ‘마지막 논문’
2015.07.07
면역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수지상세포를 발견한 공로로 2011년 노벨 생리
의학
상 수상자로 선정됐으나 수상하기 3일 전 췌장암으로 유명을 달리한 인물이다. 도 교수가 남긴 연구 성과 또한 수지상세포와 관계가 깊다. 연구팀은 수지상세포 중 한 종류(CD8 α-수지상세포)가 아직 분화되지 ... ...
“제2의 메르스 막으려면 ‘감염병 전쟁’ 수준의 대처 필요”
2015.07.01
이번에는 보건 당국의 대응이 미숙했다는 것이다. 이혁민 가톨릭관동의대 진단검사
의학
과 교수는 “바이러스 검사는 특별히 어려운 게 아니고 시약만 준비돼 있으면 가능하다”면서 “국내 의료기관에는 이런 긴급진단 검사가 도입돼 있지 않다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또 ... ...
국내 첫 기초
의학
연구단 ‘혈관연구단’ 출범
2015.07.01
연구비를 지원하는 연구단을 선정하고 있다. 혈관연구단은 IBS의 25번째 연구단으로, 기초
의학
분야에서는 첫 번째 연구단이다. 혈관연구단은 앞으로 5년간 매년 40억 원을 지원받게 되며, 추가 심사를 통해 최대 11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 고 단장은 혈관 생성을 촉진하는 단백질의 존재와 작동 ... ...
[광화문에서/윤신영]은유로서의 질병
동아일보
l
2015.07.01
병원체가 인간을 향해 싸움을 거는 존재가 됐다. 문제는 병원체에 대한 이런 관점이 현대
의학
과 과학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원인(병원체) 한 가지에 모든 악을 뒤집어씌운 채 다른 요인에 대해서는 뒷짐을 지게 만들 수 있어서다. 병은 병원체 혼자서 일으키는 게 아니다. ... ...
이전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