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인간은 왜 입체감을 느끼나
과학동아
l
199606
조그만 책을 준비해 양쪽 그림 사이에 수직으로 세운 뒤 눈 운동을 하면 쉽게 입체그림을
볼
수 있다.▶교차시의 방법①눈을 사시 상태로 한다. 그래도 시선을 유지한 후 앞쪽에 그림을 놓고 초점을 맞추면 입체감이 느껴진다.②그림과 자신의 눈 중간쯤에 원을 만든다. 그 원 가운데를 통해 그림을 ... ...
확산되는 현대인의 불안심리
과학동아
l
199606
변한다스스로 공포증을 이겨낸 예외적 사례는 사회공포증의 일종인 무대공포증에서만
볼
수 있다. 아더 루빈스타인이나 파블로 카잘스 등의 예술가들도 평생 이 공포증과 싸워야만 했다.그러나 심리치료가들에 따르면 '이완' 을 골자로 한 긴 훈련을 거쳐야 진정으로 공포증을 극복할 수 있다. 그 ... ...
2. 알칼리 이온음료는 왜 산성일까
과학동아
l
199606
알아보기 위해 리트머스시험지로 찍어보면 푸른색 리트머스시험지를 붉게 만드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사실로 알칼리 이온음료는 알칼리성이 아니라 산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알칼리 이온음료가 산성인 이유는 맛있는 청량음료를 만들기 위해 탄산을 많이 녹여 놓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 ...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과학동아
l
199606
가느다란 틈새가 만들어진다. 여기에 빛을 쬐면 틈새의 양쪽에 희미한 줄무늬 가닥을
볼
수 있다.(그림5) 빛이 회절한다는 성질이 밝혀짐으로써 입자설은 곤경에 빠졌다. 입자는 틈새를 그냥 통과할 뿐 퍼지지 않기 때문이다. 입자론 측은 곧 그럴듯한 설명을 만들어냈다. 빛 입자가 장애물에 ... ...
허블우주망원경 6주년 생일파티
과학동아
l
199606
보라색 테두리는 얇은 안개층이며, 노랑색은 그 안쪽 안개층. 푸른색 영역이 우리가
볼
수 있는 천왕성의 가장 깊은 대기층이다. 이것은 마치 비누방울을 통해서 그 뒷배경을 보는 듯하다. 올챙이들의 행진, NGC7293NGC7293는 지구로부터 4백50광년 떨어져 있는 가장 가까운 행성상성운이다. 과학자들은 ... ...
3. 입체 TV
과학동아
l
199606
하며, 또한 화면의 자체의 크기도 커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많은 사람이 동시에
볼
수 있어야 한다.4. 현재의 방송 방식이나 방송 시스템을 급격하게 변경하지 않고 3차원 화상 방송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이런 전제조건을 모든 충족시킬 수 있는 방식은 홀로그래피밖에 없다. 그러나 ... ...
1. 톱쿼크 발견
과학동아
l
199606
2세대 쿼크들보다 무거운 것을 알 수 있다. 중성미자들은 현재까지의 실험으로
볼
때 질량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성미자는 또한 전기전하를 띠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물질과의 상호작용을 거의 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한편 참쿼크가 1974년에, 바텀쿼크가 1977년에 발견된 이래로 ... ...
1. 식이요법
과학동아
l
199606
효과 : 균형잡힌 식사 조절, 열량식품 피해야우리 몸에서 지방은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는 쿠션 역할을 하고 체온을 유지해주는 보온단열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비상시 사용하기 ... 더욱 줄어들어 위험하다. 인슐린 비의존형은 철저한 관리를 전제로 한 극저열량식이 효과를
볼
수 있다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06
쉽게 통과하지 못한다.하지만 혈관뇌장벽에도 틈새가 있다. 첫째 이 장벽은 뇌 전체로
볼
때 약 90% 부위에만 존재한다. 즉 뇌하수체와 시상하부의 내융기부위나 뇌척수액이 통과하는 부위에는 이 장벽이 없다. 그래서 주변 혈관을 통과하던 약물이나 이물질은 이 부위에 쉽게 침입해 부작용을 ... ...
3. 식빵에서 곰팡이가 피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06
위생상태에 좌우된다. 따라서 빵에 곰팡이가 빨리 핀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빵이라고
볼
수는 없다. 둘째 식빵에 수분이 얼마나 있느냐는 것이다. 수분이 많을 경우 미생물은 빨리 번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식빵에 함유된 당의 양이다. 당이 많이 들어있는 빵은 수분 흡수가 힘들어 곰팡이가 ... ...
이전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