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1,11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베일 벗는 한국 고대사
과학동아
l
200409
좋겠다”고 했다.연구만 할 수 있어 행복한 학자얼마전 한 TV프로그램에서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를 다룬 적이 있다. 박 교수는 책에 담긴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데는 좋은 기회였지만, 천문역사학 분야만을 제한적으로 다뤘다는 점에서 무척 아쉬움이 남는다고 했다. 책에는 천문역사학 외에도 ... ...
우리
는 왜 잠을 자야할까
과학동아
l
200409
것보다는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시간 동안 숙면을 취하는 습관이 가장 중요하다.
우리
나라 통계조사에 따르면 성인 남녀 모두 평균 수면시간이 6.5시간으로 대부분 사람들이 수면이 부족한 상태다. 이로 인한 건강의 손실 또한 적지 않을 것이다.특히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은 자는 동안 ... ...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09
기록이 있다.고구려 고분벽화에는 고구려인들이 우주와 얼마나 친근한 삶을 살았는지를
우리
에게 보여준다. 김 박사는 8월 중순 중국의 지안시를 다녀왔다. 그때 그곳에서 별이 쏟아져 내리는 밤하늘을 보면서, 문득 자신이 고구려로 시간여행을 간 듯했다고 한다.고분벽화 속 하늘세계와의 ... ...
만약 배낭로켓 메고 하늘 난다면?
과학동아
l
200409
타면서 뒤로 분출되는 연소가스의 반작용으로 앞으로 날아가게 만든 강력한 무기였다.
우리
나라 최초의 로켓인 고려 말 최무선의 ‘주화’ 역시 비슷한 원리로 만들어진 것이다. 만약 배낭로켓을 탄 사람이 기계고장으로 갑자기 추락하거나 출발할 때 연소가 불량해 엉뚱한 곳으로 발사된다면, 그 ... ...
블랙홀 둘러싼 거장과 신인의 싸움
과학동아
l
200409
“
우리
앞으로 ‘블랙홀’ 이라고 부릅시다. ‘중력적으로 완전히 붕괴된 물체’ 라는 이름은 너무 길어요.” 1967년 미국 프린스턴대의 물리학자 존 휠러 박사는 뉴욕 암스테르담가의 우주물리학연구소에서 이렇게 제안했다.당시 블랙홀은 ‘얼어붙은 별’ (frozen star) 또는 ‘붕괴된 물체’ (collapsed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409
다중정체성이 드러나는 또다른 사례는 채팅이나 게시판에서의 성 역할 바꾸기다.
우리
는 게시판이나 채팅에서 남자가 여자로, 여자가 남자로 행세하다 들통나는 경우를 종종 발견한다. 이런 현상은 사이버 공간에서의 변신이 현실에 비해 좀더 쉽고 즉각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가능하다.이는 ... ...
4. 사이버 공간에서도 언어는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409
사용하는가’ 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모양이 예쁘다’ 라는 대답과 ‘
우리
만의 언어를 갖고 싶다’ 라는 답이 가장 많이 나왔다.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거나 특정 관계에 있는 사람들과 은밀한 결속력을 가지려는 심리적 요구가 언어에 반영된 것이다. 이같은 네티즌의 심리적 ... ...
기계가 정말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09
이수영 교수는 “똑똑하지 않은 로봇은 미래에는 불필요하다”고 말한다. 이것이 현재
우리
가 풀어야 할 ‘로봇 딜레마’ 다. 그는 “로봇이 스스로 무엇이 부족한지 알고, 이를 질문한 후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는 ‘능동적 학습’ 을 할 때 인간이 원하는 인공지능 로봇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09
동안의 수확에 기뻐하며 하늘에 둥둥 떠있는 음력 8월의 대보름달을 향해 감사를 드렸던
우리
선조들은 이미 달이 생명의 근원임을 알고 있지 않았을까 ... ...
'꿈의 차세대 원자로' 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09
함께 최종 후보에 올랐다. 표준이 아니라 참조 모델이기 때문에 다른 나라들이
우리
원자로를 본따 그대로 차세대 원자로를 개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많은 나라가 한국인이 만든 원자로 모형을 주목하게 된 것은 사실이다.“핵연료에서 나온 플루토늄을 핵폐기물과 분리하기 매우 어렵게 해 ... ...
이전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