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결국 이라크의 슈퍼
건
은 완성되지 못했다.그렇다고 쥘 베른의 꿈이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었다. 1985년 미국에서 우주대포에 관한 연구가 시작됐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의 존 헌터가 진행한 이 연구는 HARP의 계승자라는 뜻에서 ‘슈퍼 고고도 연구프로젝트’ ... ...
미 FDA 유전자치료 전면 중단 선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연구를 계속해야 한다”고 밝혔다.우리나라의 경우 유전자치료는 1995년 처음 시도돼 수
건
이 학계에 보고돼 있다. 차병원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 정형민 소장은 “다른 치료 수단을 모두 사용해도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만 유전자치료를 해야 한다”면서 “임상시험 전에 안전성을 확보하고,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조사 대상으로 택한 톰슨 박사의 연구는 IQ에 대한 유전자의 효과를 알 수 있는 최적의 조
건
이었다.연구팀에 따르면 일란성 쌍둥이들은 뇌 중에서 특히 언어 능력을 결정하는 부분과 대뇌의 전두엽 부분이 놀라울 정도로 닮아 있었다. 전두엽은 인간의 인지 능력, 흔히 IQ라 부르는 요소를 결정하는 ... ...
문화재 아름답게 노화시키는 보존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과다하게 사용해선 안된다는 말이다. 과도하게 새로운 재질이 들어가면 그
건
새 물
건
이지 오랜 세월의 흔적이 담긴 문화재라고 보기 어렵다. 문화재엔 언제나 시간의 흔적이 배어있어야 한다. 또한 보수 후에 문제가 생겼을 때를 대비해 다시 수리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야 한다. 보수 직전의 훼손된 ... ...
모험이의 스타워즈 에피소드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아르미뉴므 행성은 알루미늄이 풍부한 것으로 유명하다.모험이는 각 행성에서 어떤 음파
건
을 만들어낼까.어드벤처 1 프라스티크 행성-플라스틱 팬파이프어드벤처 2 피르므통 행성-필름통 오카리나어드벤처 3 아르미뉴므 행성-알루미늄 관악기왜 그럴까?!▶▶▶ 플라스틱 관으로 팬파이프를 만들 수 ... ...
땅속에 향나무 묻은 뜻 침향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선조들이 매향한 곳은 모두 바닷가나 섬 지방으로, 썩어 없어지지 않을 수 있는 환경조
건
을 일부러 찾아서 묻었다. 매향이 가라앉는 비밀은?그렇다면 땅 속에 묻은 나무의 향은 어떻게 될까. 복잡한 여러가지 화합물로 이뤄진 ‘향기메이커’가 땅 속에 오래 있다고 더 좋아질리 만무하다. 다만 ... ...
발효과학의 결정체 김치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다른
건
다 참을 수 있겠는데, 김치 생각만큼은 정말 간절하더라.”잠시 한국을 떠나 외국에서 생활했던 사람들이 빼놓지 않고 하는 말이다. 김치 없이는 정말 못산다는 노랫말까지 있으니 우리 민족과 김치는 결코 뗄 수 없는 사이인 듯하다. 과학적인 발효 식품이라는 칭송을 받고 있는 김치. ... ...
1. 폭력 난무하는 약육강식의 우주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점을 감안하면, 우주에서 은하가 충돌하는 일은 교통사고보다 더 흔하게 벌어지는 사
건
인 셈이다. 꼬리나 다리가 생기는 이유충돌하는 은하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보통 은하들은 타원형이나 나선형으로 대칭적인 모습을 하지만, 충돌하는 은하는 언뜻 보면 그 모습이 일정하지 않고 괴상하다. ... ...
1. 급물살 타는 한국인 게놈 연구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비롯한 여러 생물의 총 1천2백만여
건
의 유전정보를 재가공해, 이 가운데 2백만-3백만
건
을 국내 연구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와있다. 센터는 또 게놈 연구에 필요한 생명정보학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다 ... ...
1. '노벨상 후보감' 쇤 박사의 논문 날조 충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존 딘겔은 NIH의 연구비와 연구방향을 결정하는 총 책임자였다.이제 볼티모어 사
건
은 과학자 내부의 과학논쟁을 넘어서고 있었다. 과학정책자인 존 딘겔과 노벨상 수상자인 과학자 볼티모어 사이의 논쟁으로 커져 버렸다. 딘겔은 과학에서의 기만행위를 근절시킬 방법을 찾고 있었고, 볼티모어는 ... ...
이전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