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표자
대표원
대신
정치 위원
대리자
사절
d라이브러리
"
대표
"(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수수께끼 아기별의 탄생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스타 탄생의 소용돌이최근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독수리성운(Eagle nebula, M16)은 그
대표
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산호초와 같이 보이기도 하고 마법의 성처럼 보이기도 해 마치 그 어디선가 에일리언(우주인)이 뛰어나올 듯한 분위기다.독수리성운은 뱀자리(Serpens)의 꼬리에 있는 암흑성운으로 ... ...
'고대문명의 수수께끼' 그 감추어진 이야기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걸쳐 거대한 유적군이 산재해 있다. 앙코르와트(Angkor Vat)는 앙코르톰과 함께 이 지역을
대표
하는 유적이다. 앙코르란 '나라' '도읍'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범어)가 캄보디아 사투리로 변한 것이고 와트란 '왕도'의 의미.고대 크메르인들은 왕이나 왕족이 죽으면 그가 믿었던 신과 하나가 된다는 ... ...
워드프로세서로 1년 계획 세우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달하며, 외국제품이 한글화돼 선보인 것도 있다. 로터스사의 '오거나이저 한글판'이
대표
적인 제품이다. 국산 제품으로는 '평생비서 오!K'(큐닉스컴퓨터) '명인'(피코컴퓨터) '퀵매니저'(정소프트) '다이어리'(열림정보통신), '핌즈'(설봉정보시스템) '정보수첩 K'(영림원) 등이 있다.다음은 각 ... ...
진화론 VS 창조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관찰 재현 등을 할 수 없는 생명기원의 문제에서 더 뚜렷이 나타난다.생명기원에 대한
대표
적인 두 가설 중 진화론은 흔히 과학적으로 검증되고 사실로 확인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진화론은 과학적으로 검증되거나 확인되지 않았다. 진화론 역시 진화의 패러다임에 근거한 '신념의 체계'일 ... ...
냉동인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수천 년까지 살아남을 수 있다고 한다.노화의 원인에 관해 여러 가지 이론들이 있다.
대표
적인 이론 중 하나는 세포 안에 있는 유전 메커니즘이 낡아 자체 수리 능력을 잃고 쇠퇴한다는 설이다. 다른 하나는 이미 존재하고 있는 노화 유전자가 예정된 시기에 작동해 세포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 ...
큰틀
대표
이한순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컴퓨터가 바꾸어놓을 세상을 꿈꾸며 우리의 컴퓨터 문화를 이끌어왔다.통신회사 '큰틀'
대표
이자 여러 컴퓨터 전문지와 신문의 칼럼니스트로 활동해온 이한순씨(34) 역시 이 1세대 인물중 한 명. 하이텔 전신인 케텔과 천리안 전신인 PC서브에서 온라인 학원 역할을 했던 각종 강좌를 통해 입지를 ... ...
당신이 사는 곳은 몇점?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몇가지 환경지료를 이용, 도시에서 건강한 생태계를 찾아보자.서울이라는 '도시'는
대표
적인 인공 생태계다. '생태계(生態界)'란 어떤 지역에서 생물이 살아가는(生) 모습(態)에 따라 어우러진 시스템을 말한다. 따라서 인공생태계는 그 안에 존재하는 자연생태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인간이 조성하고 ... ...
2. 한국우주개발의 신호탄 우리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같은 최고급 승용차에 비유한다면, 우리별 위성은 70년대 우리나라 자동차 개발을
대표
하는 포니나 80년대 엑셀로 비유될 것이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자동차 기술은 거의 세계 수준급이지만 이와 같은 바탕은 포니의 탄생과 그를 통한 자체적인 설계, 제작능력의 확보일 것이다.2015년이 되면 우리별 ... ...
잠 꼭 자야만 하나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잠을 잔다. 식물들은 일정 기간 성장할 수 없는 여건에 놓이면 수면에 들어간다.
대표
적인 예가 가을에 떨어지는 낙엽. 나무들이 겨울잠을 자기 위해 채비를 하고 있는 것이다. 열대 아열대 식물은 수면기가 없이 계속 성장을 하기 때문에 추운 지방에서 자라는 나무들에 비해 단단하지 못하다 ... ...
Ⅲ 한국형 감성공학, 세계로 나간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이같은 분위기 속에서 80년대 후반 일본 감성공학계의
대표
적 인물인 히로시마 대학 나가마치 교수는 감성공학을 "인간이 가지고 있는 소망으로서의 이미지나 감성을 구체적인 제품 설계로 실현해내는 공학적 접근"이라 정의하기에 이르렀다. 그는 이 정의에 덧붙여 ... ...
이전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