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486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아인슈타인에게 바치는 헌사
2015.03.08
스퍼겔 프린스턴대 천체물리학과 교수의
논문
을 비롯해 일반상대성이론 관련 최신
논문
이 실렸다.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사람의 두개골처럼 보이는 그래픽이 등장한다. 고대 인류로 추정되는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의 두개골의 일부 조각을 이용해 두개골 전체 ... ...
수학 잘 하려면 체질을 바꿔라!
수학동아
l
2015.03.05
인지과학 이론을 활용해 생각하는 습관이 수학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여러 편의
논문
을 발표했다. 그중 하나가 '메타인지' 학습법에 관한 내용인데, 메타인지란 내가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를 파악하고, 그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며, 그 계획을 실행하고 이를 다시 평가하는 과정을 ... ...
지리산에 과학 단비가 내리다
과학동아
l
2015.03.04
기자가 다니던 대학에는 수억 원짜리 최신 현미경과 최고 수준의 교수들과 최신
논문
이 있었다. 그럼에도 지리산의 학생들처럼 과학을 좋아한 것 같지는 않다. 취재를 하면서 과학 불모지나 다름없는 지리산에서 과학의 꿈을 피운 후배들이 대견했다. 더 열심히 기사를 써야겠단 생각도 들었다. ... ...
[요즘대세 공대가 좋아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
과학동아
l
2015.03.03
함께 수업을 진행한 앨리스 리 GIST 기초교육학부 교수 역시 “과학자들은 (영어로 쓴)
논문
을 통해 말하고 듣는다”며 “학생들이 실제 과학자처럼 소통할 수 있도록 전공 수업이지만 영어 작문과 말하기도 중요한 비중으로 가르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학생들은 이미 영어강의에 많이 적응한 듯 ... ...
보글보글 공기방울에서 전기 만들었다
2015.03.03
자기유체를 통과하는 공기방울에 의해 전기가 만들어진다. - 단국대 제공 파도가 치는 해안가나 폭포수 근처에는 항상 공기방울이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하는 공기거품을 신재 ...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에너지 분야 학술지 ‘나노 에너지’ 1월호 표지
논문
으로 실렸다.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같은 연구소 오보카타 하루코 박사팀이 2014년 1월 학술지 ‘네이처’에 낸 줄기세포
논문
두 편이 조작의혹을 받으면서 후견인이자 공동저자이자기도 한 사사이 박사까지 도마에 올랐다. 일단 먹잇감을 발견한 언론들은 두 사람이 같이 출장을 간 영수증 등을 근거로 내연의 관계라는 추측성 기사를 ... ...
세포 속에 에볼라바이러스 가두는 방법은?
2015.03.01
찾아볼 수 있다. 엔도좀에 박혀있는 작은 원통 중 남색이 NPC1이고 노란색이 TPC2다.
논문
의 제1저자인 야스테루 사쿠라이 미국 텍사스생의학연구소 연구원은 “이 단백질을 파괴할 수 있다면 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바이러스가 세포 안에 갇혀 밖으로 다시 방출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장갑 끼고 드론 조종해봤나
2015.02.27
스마트 섬유를 이용한 장갑만 있으면 무거운 조종기 없이도 드론을 조종할 수 있다. 장갑 손 끝에 X자로 기운 스마트섬유가 압력센서 역할을 한다. - 연세대 전기전자 ...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다음 달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표지
논문
으로 실릴 예정이다. ... ...
“누구나 ‘가슴’ 하면 그녀를 떠올릴 수밖에”
2015.02.27
돌리를 탄생시킨 주인공은 영국의 생물학자 이언 윌머트(Ian Wilmut) 박사입니다. 일각에선
논문
의 공동 저자인 키스 캠벨(Keith Campbell) 박사의 공이 더 크다고 얘기하는데요. 여하튼 윌머트 박사팀은 277번째 시도 끝에 복제에 성공, 마침내 1996년 7월 5일 6.6kg의 건강한 아기 양 돌리를 탄생시킵니다. 갓 ... ...
“청색 LED 개발에 10년, 노벨상 수상까진 25년 걸렸죠”
2015.02.26
지수(IF) 등에 민감한 한국의 연구 평가 방식에도 일침을 가했다. 그는 “한국에서는
논문
이 실린 학술지의 피인용 지수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얘기를 한국 대학원생에게 직접 들었다”면서 “이런 지수는 유의미한 지표가 될 수 있지만 연구 성과 전체를 판단하는 잣대가 될 수 없다”고 밝혔다. ... ...
이전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