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528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아쟁론]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 운전 연장
동아일보
l
2015.01.30
받는다. 이미 미국과 유럽 각국의 많은 원전들이 유사한 과정을 거쳐 안전성을 확인한 뒤
최초
운영허가 기간을 넘어 계속운전 중이다. 월성 1호기는 1983년에 상업운전을 시작한 이래 우수한 운전 성능을 보이면서 30년간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해 왔다. 더욱이 2009년에는 5600억 원을 투입해 핵심 ... ...
로봇 원격 조종해 방사능 오염 원자로 해체
2015.01.30
나타났다. 이 장치는 원전 해체용 가상시뮬레이터.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지난해 10월 세계
최초
로 개발해 현재 테스트 중이다. ‘턱’. 조종간에 뭔가 닿은 느낌이 드는 순간 화면 속 로봇팔이 벽에 부딪히며 멈췄다. 최병선 책임연구원은 “원전의 ‘심장’으로 불리는 원자로는 방사능 오염이 너무 ... ...
체온으로 전기 생산 ‘웨어러블 발전소자’ 상 받을 만 하네
2015.01.29
10대 기술로 선정됐다. 조병진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팀은 지난해 4월 세계
최초
로 개발한 웨어러블 발전소자 기술이 유네스코에서 주최한 ‘넷엑스플로 어워드(Netexplo Award)’에서 TOP 10에 선정다고 밝혔다. 올해로 8회를 맞이한 이 상은 삶의 향상에 큰 영향을 끼칠 IT 기술 10개를 선정해 ... ...
인류
최초
의 ‘낙서’는 50만 년 전에?
과학동아
l
2015.01.29
pixabay 제공 인류가 처음으로 무언가를 끄적끄적 그린 것은 언제부터일까.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 시절이던 50만 년 전부터 낙서 수준의 그림을 그린 것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 라이덴대 생물학과 조세핀 주덴스 박사팀은 120년 전인 1890년대에 독일 고인류학자 외젠 뒤 ... ...
아이 러브 ♥ 고기
2015.01.28
탄생’을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2012-2013년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식인종,
최초
의 인류, 호빗 등 인류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이상희 교수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와 미국 미시건대 인류학과를 졸업한 뒤 2001년부터 ... ...
한국 소프트웨어 개발능력 국제인증 얻었다
2015.01.27
수준에 도달했다는 인증을 받은 셈이다. SW·콘텐츠연구소는 2011년 이후 정부 출연연 중
최초
로 스파이스 레벨 3 인증을 받은 후 지속적으로 관련 인증을 얻고 있다. 융합기술연구소는 지난해 처음 과제 계획 프로세스를 포함한 10개 프로세스에 대해 레벨 3 인증을 획득했다. 스파이스 레벨은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컴퓨터시대는 IBM PC가 등장한 1981년에 시작됐듯이, 페퍼야 말로 대중이 소유할 수 있는
최초
의 본격 소셜로봇이기 때문이다. 예정대로라면 다음 주 출시되는 본격 범용 휴머노이드 소셜로봇인 페퍼. 사람의 감정을 읽는데 특화된 휴머노이드로, 페퍼와 대화를 나누는 사람들의 표정에서 진정한 ... ...
“세계는 줄기세포 전쟁중… 미국에만도 연구팀이 1000개 이상”
동아일보
l
2015.01.26
’을 실시하고 있다.” 이 대목에서 약간 민감한 질문을 던져보았다. ―2013년 5월 세계
최초
배아줄기세포 성공 이후 바로 사진조작문제가 나왔었다. “처음 논문을 실었던 셀 지에서 검증해 조작이 아니라 ‘실수’라고 결론 내렸다. 사진에 번호를 잘못 매겨(그는 mislabelling이라고 했다) 벌어진 ... ...
국내 원자력계의 ‘대부’ 한필순 원자력연 고문 별세
2015.01.26
기술을 개발하는 전략을 택하고 30여명의 정예요원을 독일로 파견했다. 그 결과 1989년 말
최초
로 국산 경수로 핵연료를 생산한 데 이어 이듬해 원자로에 첫 장전하는 쾌거를 이뤘다. 고인은 핵연료 연구와 동시에 원자로 설계 프로젝트도 동시에 추진했다. 이 분야에서는 미국과의 협력을 추진했다. ... ...
한국공학한림원 일진상·해동상 수상자 발표
2015.01.25
- 한국공학한림원 제공 해동상 ‘공학교육혁신’ 부문 수상자인 선우 교수는 국내
최초
로 미래자동차공학과를 설립했으며 자동차전자기술교육센터를 설립해 산업현장 인력을 대상으로 전문 교육을 실시해 온 공을 인정받았다. ‘공학기술문화확산’ 부문 수상자인 이 대표는 대덕넷을 ... ...
이전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