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기술]장애물 만나면 메뚜기처럼 점프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공처럼 굴러서 빠르게 이동하다가 중간에 장애물을 만나면 점프하는 로봇이
개발
됐다. 영국 배스대 생체모방공학기술센터 박사과정에 있는 로드리 아머 씨가 우주 지형을 탐사하거나 사람이 갈 수 없는 사막이나 오지에서 지질조사에 쓸 수 있는 로봇인 ‘졸봇’(Jollbot)을 만들었다고 미국 ... ...
휴머노이드와 사랑에 빠진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미팅을 가졌다. HAL이 장애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길 기대한다.산카이 교수가
개발
한 HAL은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나오는 인간을 배신하는 컴퓨터 이름이며, 그가 세운 로봇회사 사이버다인은 영화 ‘터미네이터’에 나오는 악당 로봇 회사 이름이다. 영화와 달리 현실에서는 ... ...
그랑제콜 두고 서울대 온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때 사용된다.현재 필자는 유한요소법을 활용한 소프트웨어인 ‘입샙’(IPSAP)을
개발
하는데 참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복합물질의 구조를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 주제는 매우 중요한데, 가령 보잉 787은 절반이 복합물질로 이뤄졌다. 아마 앞으로 복합물질을 활용하는 예는 점점 ... ...
[지구과학]우주에 작용하는 힘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과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해 개별적인 개념 간의 연계성을 고려한 다양한 논구술 문제를
개발
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미는 힘과 당기는 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 지구에는 여러가지 힘과 에너지가 존재한다. 이런 힘과 에너지는 우주공간에서도 작용한다. 만유인력과 조석현상을 그 예로 들 수 ... ...
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일이 과학계의 최대 목표가 됐다. 이는 NASA가 주도하며 유럽우주국, 캐나다우주국이 함께
개발
하고 있는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의 목표 중 하나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허블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구경 6m짜리 차세대 우주망원경이다.암흑에너지나 암흑물질의 정체 규명이 아무리 중요하다 ... ...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수준이다. 따라서 집들은 널찍한 마당을 기대하기 어렵고 서로 다닥다닥 붙어 있다. 재
개발
된 곳은 대부분 20층이 넘는 아파트들이 들어서 수평으로는 여유가 생긴 대신 사람들 대다수가 땅에서 떨어진 공간에 거주하고 있다.2. 도심 한가운데 남아 있는 전통 한옥 마을, 서울특별시 종로구최첨단 ... ...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비췄지만 필자에게는 그들이 타고 온 자동차가 눈에 들어왔다. GM이 사운을 걸고
개발
한 전기자동차 ‘볼트’, 포드가 연비와 활용성을 겸비해 제작한 소형 SUV ‘이스케이프 하이브리드’ 그리고 크라이슬러의 전기자동차 ‘지프 랭클러 EV’.물리학자인 필자에게는 그 자동차들이 그저 회장들을 ... ...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이화여대 최초로 ‘미국화학회지’(JACS)에 논문을 발표했고 인공효소모방시스템도
개발
했다. 2003년 이후 ‘사이언스’를 포함해 ‘PNAS’ 등 유명 학술지에 7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고 그 피인용 횟수는 1600회에 이른다. 남 단장은 “연구단의 비상(飛上)은 이제 시작”이라며 “전 세계 생무기화학 ... ...
유도다기능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차지했다.그 뒤를 이어 2008년 6월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에 성공해 핵융합 에너지
개발
의 발판을 마련한 한국형 인공태양 ‘KSTAR’와, 새 정부의 조직개편안에 따라 과학기술부를 대신해 새로 출범한 ‘교육과학기술부’가 각각 6위와 7위를 차지했다.이 밖에 우주 탄생의 비밀을 밝힐 거란 기대로 ... ...
우주항공구조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비교했을 때 우주항공구조공학 기술은 상당히 낙후돼 있다. 인공위성 발사와 항공기
개발
에서 우주정거장 건설까지 우주항공구조공학은 우리나라와 인류의 미래를 책임질 학문이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 최근 제작된 대형항공기인 에어버스 A-380 모델의 경우 수백만 개가 넘는 부품으로 이뤄져 ... ...
이전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