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녹지 않는 초콜릿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않는 초콜릿을 개발했다고 ‘영국 푸드 저널’ 6월호에 발표했다.보통 초콜릿은 25~33℃
사이
에서 녹는다. 코코아 원두의 천연지방인 코코아 버터가 이 온도에서 녹기 때문이다. 그런데 연구진은 옥수수녹말이 코코아 버터가 녹는 것을 막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연구팀은 “옥수수 녹말을 10%정도 ... ...
고흐 그림에 유체역학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같을 확률이 감소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두 점의 밝기가 같을 확률은 두 점
사이
거리(D)의 거듭제곱으로 줄어들었다. 이것은 난류를 다루는 유체역학의 대표법칙인 ‘콜모고로프 척도’(Kolmogorov scaling)와 일치한다.콜모고로프 척도는 소련의 과학자 안드레이 콜모고로프가 1940년에 난류 속의 ... ...
미래형 '헬리플레인'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오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흐름으로 발생하는 광선의 일종 기압이 매우 낮은(거의 진공상태) 긴 관의 양쪽 끝 전극
사이
에 직류 고전압을 가했을 때 음극 전극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빠른 흐름이다방사선을 쏘였을 때 우리 몸 1g에 흡수되는 에너지량골수의 유전적 이상으로 정상적인 혈구세포를 만들지 못하는 희귀한 ... ...
2. 우리 쌀은 좋은 것이야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교훈1906년 권업모범장이 있었던 자리인 작물과학원의 시험장 한편에는 다양한 품종의 벼
사이
에 거대한 잡초들이 무성히 자라고 있다. 가만히 들여다보면 볍씨가 맺혀있다. 이것도 벼란다. 작물과학원 강경호 박사는 “야생벼의 유전자를 이용해 병해충 저항성을 늘리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냥 ... ...
'에너지 보존법칙'쉬운 길로 가보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합은 같지 않았다. 따라서 중성자 붕괴에서는 에너지가 보존되지 않는다고 물리학자들
사이
에 논란이 많았다.1931년 파울리는 중성미자라는 새로운 입자가 있으면 에너지가 보존된다고 하면서 중성미자의 존재를 예측했다. 결국 1950년대 중성미자가 발견되면서 에너지가 보존된다는 것도 입증됐다. ... ...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목성
사이
에는 작은 소행성들이 무수히 떠돌아다니고 있습니다. 마치 감자처럼 울퉁불퉁한 암석으로 이루어진 소행성 중 지름이 100km 이상인 것은 현재까지 200여 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소행성은 긴 타원 궤도를 그리며 해를 공전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일부는 우리 지구와 충돌할 수도 있습니다.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박사는 이 내용을 '사물의 혼'(The Soul of Things)이라는 책으로 출간했다 엄밀하게 말하면
사이
코메트리는 어떤 물질적 대상을 매개로 삼는 투시능력의 일종이다천체를 관측해 해와 달의 운행과 절기 등을 적어 놓은 책 이순지와 김담이 중국 원나라의 수시력법과 명나라의 통궤력법을 참고해 세종 26년 ... ...
챌린저호 폭발 원인은 통계의 오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파산할지를 판단해야 한다. 즉 개인의 신용도가 중요하다. 개인별로 신용도를 0~ 100점
사이
로 예측하는데, 은행에서는 이미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 자격심사를 거쳐 통과한 사람들만의 데이터를 분석한다. 신용카드 발급이 거절된 사람까지 포함해 신용도를 평가해야 하는데 말이다.희귀병에 걸린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펑크는 60-70년대를 풍미했던 무정부주의적이고 급진적인 청년문화 스타일이다 따라서
사이
버펑크란 '컴퓨터에 익숙한 자유주의적 청년문화'로 이해하면 된다흔히 똥배로 불리는 복부비만은 피하지방이나 내장지방에 의한 것이다 피하지방은 말 그대로 피부 아랫부분에 모인 지방이고 내장지방은 ... ...
벼락이 모진 놈 좋아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벼락이 잦다. 벼락은 양전하와 음전하를 띤 구름과 구름, 혹은 구름과 지면
사이
에 생기는 방전현상의 일종으로 땅으로 떨어지는 번개다. 벼락은 뾰족하게 솟아있는 물체에 잘 떨어진다. 하늘에서 땅으로 내리칠 때 벼락도 지름길을 택하는 까닭이다. 그러니 ‘모진 놈 옆에 있다가 벼락 맞는다’는 ... ...
이전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