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도
도면
d라이브러리
"
지구도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지난 3월 27일 음속의 7배를 돌파한 X-43은 수소연료만을 이용했다.연소에 필요한 산소는 대기에서 공급받기 때문. 산소를 싣고 갈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의 비행기보다 더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대수학에서 사용하는 이론의 하나 갈루아는 대수방정식의 근(根) 사이의 치환군(置換群)과 수체(數 ... ...
야행성 철새는 해질녘에 나침반 보정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지빠귀류는 적도지방에서 겨울을 나고 여름이 되면 밤을 틈타 온대지방으로 이동해 그곳에서 새끼를 낳아 기른다. 이때 지구자기장을 감지해 길을 잡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과학자들은 지빠귀가 해질녘에 자신의 나침반을 보정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미국 일리노이주 자연사조사단의 윌 ... ...
카시니가 찍은 토성의 최근 모습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는 현재 토성에서 5천6백40만km 떨어진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의 1/3되는 우주를 날고 있다. 보내온 사진은 지난 3월 8일 촬영한 것으로 토성남반구에 보이는 2개의 작고 검은 점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내달 중 좀더 명확히 밝혀질 전망이다. ...
지구가 선사한 어린이날 선물,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우주비행사들은 우주에서 바라본 푸른 행성 지구의 아름다움을 잊지 못한다. 일반인들도 사진이나 TV로 지구를 볼 수 있지만 그런 감동을 느끼긴 어렵다. 그렇다고 너무 실망하진 말자. 지구를 직접 볼 수는 없지만 달에 비친 지구의 그림자를 볼 수 있는 기회가 가끔씩 찾아오기 때문이다. 바로 5 ... ...
01. 타고난 성격, 바꾸려면 부러질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백지에는 어떤 얼룩도 없기 때문에, 그 위에는 가장 새롭고 가장 아름다운 말들이 써질 수 있고 가장 아름다운 그림이 그려질 수 있다.”모든 인간이 서로를 위하는 평등한 사회를 건설하겠다는 이상을 품었던 중국의 혁명가 마오쩌둥의 말이다. 그는 문화혁명을 통해 자신의 꿈을 실현하려했지 ... ...
서울-LA 1시간 비행시대 예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지난 3월 27일 미 항공우주국(NASA)의 시험비행기 X-43A가 시속 8천km를 돌파했다. 이는 마하 7, 즉 음속의 7배에 해당하는 항공기 사상 최고의 속도. X-43의 성공은 새로운 추진기관인 초음속연소 램제트엔진(Supersonic Ramjet Engine, 줄여서 스크램제트 엔진) 덕분이다. 스크램제트 엔진(Scramjet Engine)을 이용 ...
태양건축 에너지 완전자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최근 우리나라의 기후변화를 지켜보면 지구온난화가 얼마나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화석 연료에 의한 지구온난화현상은 자원고갈과 함께 오래전부터 예견된 문제였다.최근 사람들 사이에서 에너지 문제가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까닭은 현재와 같은 자원개발 방법과 소비 ... ...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국제우주정거장 관리업무를 교대할 우주인들이 4월 19일 러시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를 떠났다. 이들이 탄 우주선은 노후된 소유즈 TM 우주선을 우주인의 인체 특성에 맞춰 개량한 소유즈 TMA. A는 인체계량학(anthropometry)의 첫자를 딴 것이다.세균을 세는 단위로 1ml당 세포 또는 균주가 얼마나 있는지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지난 3월 31일 경북 포항 구룡포앞 10마일 해상. 거친 물결사이로 ‘푸우-’ 하는 소리와 함께 물기둥이 솟았다. 이어 서너개의 거대한 물체가 모습을 드러냈다. 사방에서 거친 숨소리와 물기둥이 솟다가 다시 사라졌다. 갑작스런 상황에 본능적으로 준비태세를 취한 연구진 앞에 몸을 드러낸 것은 ... ...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고생대 말인 약 2억6천만년 전 적도. 곤드와나대륙의 북쪽 가장자리에서 조용하지만 큰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땅속 수백km의 깊은 맨틀로부터 거대한 열기둥이 대륙지각으로 올라온 것이다. 대륙 여기저기가 조각으로 갈라지고, 그 갈라진 대륙의 틈사이로 깊은 계곡이 형성되고 바닷물이 들어온다 ... ...
이전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