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스페셜
"
개발
"(으)로 총 6,559건 검색되었습니다.
설국열차는 원자력으로 움직인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5
이 스마트 원자로는 러시아의 핵잠수함 원자로 제조회사인 OKBM사에게 기술 이전을 받아
개발
하고 있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의 아톰스토리(http://atomstory.or.kr)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원자로도 스마트 시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4
무엇보다 스마트원자로의 원천기술이 한국에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스마트원자로를
개발
한 한국원자력연구원은 50여 건의 관련 특허를 출원하여 미국과 러시아, 일본 등 경쟁국에 비해 한 발 앞서나가고 있다. SMART가 상용화된 첫 스마트원자로로 기록된다면 향후 중소형 원자력 발전소라는 ... ...
에너지의 미래, 결국 사람이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3
원칙이냐 실리냐?핵심 쟁점은 R-7이다. R-7은 월성1호기의 원자로인 CANDU형 원자로를
개발
한 캐나다 원자력공사에서 신설한 기준으로 원전 안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격납용기의 안전을 다룬다. R-7은 1986년 발생한 체르노빌 사고의 교훈을 반영한 것으로, 문제 발생시 격납용기와 외부가 완전히 ... ...
월성 1호기, 재운전을 결정하기까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3
갖춘 셈이다. 이날 회의의 핵심 조항은 R-7 조항이었다. R-7은 월성1호기 원자로의
개발
국인 캐나다가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도입한 안전기준이다. 야당 추천 위원들은 월성1호기가 2~4호기와 달리 R-7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R-7은 원자로 격납 건물에 대한 안전기준으로 냉각제가 ... ...
쌀 한 톨만한 컴퓨터
개발
… 세포이식 가능한 ‘스마트더스트’ 나온다
2015.04.12
교수는 “M3는 기술적으로 이미 생산이 가능한 수준이며 앞으로 더 작은 스마트더스트를
개발
할 것”이라며 “컴퓨터 크기를 수 백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까지 줄이면 인간의 세포 속에 삽입 할 날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 ...
신뢰 회복을 위한 소통의 장 마련해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후쿠시마 사고 이후의 원자력 발전단가 변화를 예로 들었는데, 사고 이후 안전 관련 연구
개발
과 관리예산이 대거 확대된 결과 원자력 발전단가가 높아지고, 결국 원자력발전소를 본격적으로 재가동한 이후에도 화력 위주로만 운영할 때에 비해 전기요금이 낮아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원자력발전의 ... ...
바이오프린팅에 날개를 달아준 방사선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7
3D 프린팅의 미래는 어디까지일까? 최근에는 형상기억까지 기억하는 4D 프린팅 기술까지
개발
되었다고 하니 그 미래를 예측하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이런 기술의 진보 덕분에 우리의 삶이 좀 더 윤택하고 행복해질 거라는 것만은 분명하다. ※ 자료출처 : 한국원자력연구원 ... ...
원전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원자력발전소 안전을 평가하는 스트레스테스트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6
때 기계가 버티지 못해서 일어난 것이 대부분이다. 흔히들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개발
할 때도 이런 종류의 테스트를 한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다가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 모든 상황을 가정하고 실제로 시연해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뒷주머니에 넣은 채 계속 앉았다 일어서면서 휘어지지 않는지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요리과정에서는 잃어버릴 수밖에 없는 향기분자를 유지한 식재료를 이용한 요리를
개발
할 수 있게 됐다. 또 새로운 조합의 발효를 시도하기도 한다. 즉 석류씨앗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키기도 하고 통보리에 사케(일본전통주)를 만드는 곰팡이를 접종시키기도 한다. 분자요리는 아직 시작단계이고 ... ...
화학결합의 처음과 끝을 봤다
IBS
l
2015.03.27
를 관찰할 수 있는 아이디어도 갖고 있습니다.” 이효철 그룹리더는 연구단에서
개발
한 펨토초 X선 회절법을 이용하면 분자의 진동, 회전 운동을 관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백질 구조의 단계별 변화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그는 또 생체분자의 구조를 인위적으로 바꾼 뒤 작용 ... ...
이전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