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미
manh
mann
MAN
스페셜
"
만
"(으)로 총 6,861건 검색되었습니다.
[불붙은 달 탐사 경쟁]①日 민간 최초 ‘달 셔틀’ 보낸다
2018.12.11
있다”며 “그간 우주는 특별한 사람, 특별한 장비가 있어야 탐사할 수 있다고 여겨졌지
만
‘뉴 스페이스 인더스트리’가 성장하면서 비용은 줄이고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는 우주산업 민간화에 속도가 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취재 지원을 받았습니다. ... ...
보이저2호, 41년 날아 인터스텔라로 진입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비행을 계속해 오르트구름의 안쪽 끝에 도달하는데 300년, 이를 완전히 벗어나는 데는 3
만
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NASA에서 보이저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과학자인 에드 스톤은 “태양권계면 너머에 존재하는 심우주 지역에 대해 아직 모르는 게 많다”고 말했다. 연구자들은 보이저2호를 통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차나무 두 변종의 게놈과 비교해본다면 정말 아삼종인지 바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만
일 그런 것으로 나온다면 인도 아유타국의 공주 허황옥이 차나무 씨앗을 가져와 심었다는 전설은 역사가 되지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中 아무도 못 가본 달 뒷면으로 '대장정'… ‘창어 4호’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하다. 당시 스페이스X는 사상 최초로 하나의 로켓을 세 번 사용하는 기록을 세웠다. 다
만
아직까지는 팰컨9 로켓으로 달 궤도로 가는 탐사선을 쏘아올린 적은 없다. 한국은 2020년 미국 스페이스X의 재사용로켓 팰컨9으로 시험용 달 궤도선을 발사하고, 2030년 이전에 한국형발사체(KSLV-Ⅱ) 누리호로 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지구촌 곳곳에서 지나치게
만
들어져 미세먼지의 형태로 인체에 침투해 매년 수백
만
명을 조기 사망으로 몰아가고 있으니 딱한 노릇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 ...
“16년 전부터 매달린 엔진 드디어 날아...2021 누리호 향해 중단 없이 연구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1.30
출장도 잦다. 인터뷰를 마치고 나오다 진승보 항우연 발사체기획조정팀장을
만
났다. “먼 출장과 젊은 연구자들이 많이 힘들어합니다. 이들의 노고를 위로할 방법을 마련하지 않으면 젊은 연구자가 발사체 연구 현장을 떠나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성공에 취해 잠시 보이지 않던 연구원들의 ... ...
시험비행 나선 첫 국산 우주로켓 엔진 성능은?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수 있도록 돕는다. 나로호 발사 때는 한국이 터보 펌프 기술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지
만
이번엔 확보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한국형 시험발사체 75톤급 액체엔진에 대한 종합연소시험을 진행했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터보 펌프를 통해 액체연료와 산화제가 공급되면 연소기의 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고른 세 가지 가운데 둘이 세놀리틱이라니 이 회사 연구원의 선견지명이 대단하다. 다
만
둘 다 동물실험에 쓰인 양보다 훨씬 적게 들어있어 이 캡슐을 복용한다고 해서 세놀리틱 효과를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래도 ‘최적화된’이라는 문구에 수긍하고 선선히 주문 버튼을 눌렀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생명체가 처음 등장한 캄브리아기를 탐험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고고학자들이 즐겨 찾는 고대 생물군의 무덤이다. 캄브리아기 전에도 생물이 존재했지
만
, 박테리아류가 대부분이다. 지질시대의 구분점에 대한 논란이 커지자 고고학자들은 캄브리아기의 시작점에 대해 골격을 가진 동물의 처음으로 나타난 때로 정하기로 합의됐다. 현재 공식적으로 그 시작점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무균 설비를 갖고 있지
만
, 찰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세계에서 유일한 무항원 생쥐를
만
드는 데 성공했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 ...
이전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