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도선
교수
, 여성생명과학진흥상 수상
과학동아
l
200407
높이 평가받았다.또한 약진상은 서울대 의대 묵인희
교수
와 덕성여대 약대 문애리
교수
에게, 공로상은 프로테오젠 한문희 대표이사와 한국식품영양재단 김숙희 이사장에게 돌아갔다.올해 신설된 ‘2004 한국로레알-유네스코 여성생명과학진흥상’ 은 국내 생명과학 분야에 기여한 여성 ... ...
10억분의 1m 속의 비밀정원
과학동아
l
200407
나노기술센터 마크 웰랜드
교수
는 나노섬유의 응용분야가 매우 넓다고 설명했다. 웰랜드
교수
는 “현재 이를 활용해 방수코팅이나 신형 태양전지용 소재 연구에서 큰 성과를 얻고 있다”고 소개했다. 특히 그는 “5˚미만의 경사에서 물방울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통해 나노섬유의 방수효과는 이미 ... ...
03. 과학을 입는다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0407
5월 23일 방문단장인 헤리엇-와트공대 섬유 및 디자인학과의 조지 K. 스타일리오스
교수
를 만났다.■ ‘스마트’ 라는 의미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옷이 주변 환경이나 상황과 스스로 상호작용해 어떤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뜻한다. 예를 들어 길을 걷는 중 옷에 부착된 센서가 위험을 감지해 ... ...
06. 보이지 않는 수호천사 바이오시그널 모니터링
과학동아
l
200407
집에 혼자 있는데 갑자기 배가 아프다. 전화로 도움을 청하기도 전에 호흡이 가빠지면서 일어설 수 없을 정도로 통증이 심해진다. 이때 집안 곳곳에 있는 센서가 주인의 몸에 이상이 생긴 것을 감지해 병원으로 즉시 연락한다. 호흡과 혈압 등 몸 상태를 측정한 자료도 자동으로 담당 의사에게 전송 ... ...
페름기 대멸종 일으킨 충돌분화구 호주서 발견
과학동아
l
200406
시사하는 흔적이 호주북동부에서 발견됐다.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 루안 베커
교수
팀은 5월 13일 발표한 ‘사이언스’ 온라인 논문에서 이 사건을 ‘베두(Bedout) 충돌’이라 명명했다. 연구진은 분지에 둘러싸인 4㎞의 융기암석인 베두 분화구에 구멍을 뚫어 조사한 결과 강력한 충돌 때 ... ...
돌고래 날쌘 헤엄의 비밀은 피부
과학동아
l
200406
나왔다. 피부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일본 교토공대의 요시미치 하기와라
교수
의 연구팀은 돌고래의 피부가 물의 저항을 줄여준다는 점을 발견하고 영국 물리학회가 발행하는 ‘터뷸런스’(Turbulence) 5월호에 발표했다. 이번 발견은 좀더 빠르고 효율이 좋은 선박이나 잠수함을 만드는데 ... ...
학대·사고 정신적 충격 평생간다
과학동아
l
200406
담당하는 전두엽 부위의 뇌파가 정상인에 비해 지나치게 단조로운 패턴을 보였다. 채
교수
는 “인지기능이 활발할수록 뇌파는 단조로움이 줄고 복잡해진다”며 “이번 결과는 과거의 사고에 대해 ‘그럴 수도 있지’라며 유연하게 생각하지 못하고 강하게 집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 ...
HOT ISSUE 1. 특명 '아인슈타인의 우주를 검증하라'
과학동아
l
200406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는 물론 하버드대, 프린스턴대, 스탠퍼드대 등 미국의 유수대학의
교수
들, 그리고 항공우주회사가 참여했다.계획에 따르면 중력탐사B는 조만간 본격적인 실험에 착수해 내년까지 지상으로 데이터를 보내올 전망이다. 그리고 2006년쯤에는 데이터 분석이 끝나 실험결과가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06
우리를 헷갈리게 하는 것은 비단 이뿐만이 아니다. 최근 미 하버드대의 한스 브라이터
교수
연구팀은 코카인 중독자에게 코카인을 투여하면서 fMRI를 사용해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를 조사했다. 그 결과 도피질, 전두엽, 기저핵이 활성화된 반면 편도체의 활동은 줄어들었다. 즉 활성화된 ... ...
나는 사랑의 몇단계에 와있을까?
과학동아
l
200406
한다. “초콜릿을 먹을 때도 뇌에서 사랑할 때와 비슷한 반응이 일어난다”고 피셔
교수
는 밝혔다. 더군다나 사랑의 느낌을 표현하면 반응이 더 활발해졌다고. 연인에게 자주 사랑한다고 속삭일수록 애정이 깊어진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다.갈망→홀림→애착의 3단계 화학작용하지만 이성간의 끌림 ... ...
이전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