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뉴스
"
가운데
"(으)로 총 8,009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판 황우석 사태’ 논란 “조작 의도 없다”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 ‘크리스퍼’ 뛰어넘는 유전자 가위?…과학계 “실험결과 재현 불가능” 이런
가운데
한춘위 교수가 2016년 5월 ‘엔쥐아고(NgAgo)’로 불리는 유전자 절단효소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능가하는 새로운 유전체 교정 기술(NgAgo-gDNA)을 개발했다고 생명공학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 ...
‘치믈리에’ 자격증 도전기…치킨의 미래는 과학에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8.09.08
5개 문항을 맞힌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합격자는 기자를 포함해 47명. 본선 진출자 500명
가운데
9.4%에 해당한다. 전소영 우아한형제들 홍보실 주임은 “치믈리에 자격시험의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 치믈리에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민간자격증으로 등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회 대회에서 합격한 ... ...
“여성과 이민자 등 소수자를 위해 써달라” 34억 상금 전액 기부한 여성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8.09.07
노벨상’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거부가 후원하는 만큼 기초 학문 분야 상
가운데
상금이 가장 많다. 물리, 생명과학, 수학 분야에서 매년 1~4명씩 선정한다. 물리 분야에서 이 상을 받은 학자는 올해 타계한 스티븐 호킹 박사, 중력파를 발견해 지난해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라이고 국제협력단 등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지오그라푸스의 사냥용 인슐린은 아미노산 43개로 이루어져 지금까지 발견된 인슐린
가운데
가장 작은 분자로 확인됐다. 참고로 사람은 51개다. 이처럼 크기가 작은 건 정교한 혈당 조절 기능이 필요한 게 아니라 먹이의 혈당을 떨어뜨리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그에 필요한 최소한의 구조를 ... ...
두 살 아기도 ‘리더’와 ‘폭군’ 구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4
좋아하고 칭송하는 지도자이며 그 다음이 두려워하는 지도자다"라고 말하는데, 그
가운데
'칭송하는 지도자'와 '두려워하는 지도자'를 각각 리더와 폭군으로 정의한 셈이다. 연구팀은 아이들에게 세 명의 계란 모양 등장인물이 나오는 만화를 보여줬다(아래 사진). 만화에서 세 인물은 공을 가지고 ... ...
울산과기원 학부 출신 첫 교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취득하고 교수가 된 건 백 교수가 처음이다. 그는 UNIST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사람
가운데
가장 짧은 기간인 6개월만에 교수로 임용된 기록을 세웠다. 백 교수가 이처럼 빨리 교수로 임용될 수 있었던 것은 ‘스마트 팩토리’라는 연구 분야에 매진한 결과다.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제품의 ... ...
2021년 발사 한국형발사체 새 이름은 ‘누리’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새 이름을 선정하기 위해 대국민 명칭 공모전을 실시한 끝에 총 1만여 건의 후보작
가운데
에서 ‘누리’를 최종 이름으로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4월 27일부터 5월 31일까지 한 달 남짓한 기간 동안 한국형발사체에 붙일 이름을 공모했다. 6300여 명이 제안한 총 ... ...
피부 흉터없이 위벽 뚫어 췌장 치료… ‘수술 로봇’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상처를 내는 것이라 감염 위험이 적고 회복도 훨씬 빠른 장점이 있다”고 맞선다. 이
가운데
노트 수술의 성공률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수술용 로봇을 국내 연구진이 최근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권동수 KAIST 미래의료로봇연구단 교수는 내시경 수술로봇 케이-플렉스(K-Flex)를 개발했다고 16일 ... ...
“게놈 정밀 의학을 꿈꾼다면, 부처나 산-학 경계부터 넘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말했다. 그는 “현재까지 9만7000건 이상의 희귀 유전질환 시료가 수집됐고 이
가운데
7만5500건 이상이 해독됐다”고 말했다. 게놈 의학의 또 다른 걸림돌은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다. 영국은 강력한 방화벽을 구축해 개인정보 유출 문제를 해결했다. 허버드 교수는 “모든 게놈 데이터는 방화벽 ... ...
포스텍, 화약 노후화 원인 규명…국방비 절감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9.02
폐기 비용도 비용이지만 노후 화약은 환경오염이나 안전사고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런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화약의 노후화 원인을 세계 최초로 밝혔다. 화약의 수명을 연장해 국방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태호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국방과학연구소, 부경대와 공동으로 ... ...
이전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