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서기
저널리스트
사무원
연예기자
연예
필자
d라이브러리
"
기자
"(으)로 총 10,052건 검색되었습니다.
자폐증 위험 생후 6개월이면 안다
과학동아
l
201203
[생후 6개월 된 자폐증을 앓는 아이의 뇌 영상은 정상인 아이들과 차이를 보였다.]제이슨 울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팀은 생후 6개월이면 뇌 영상으로 자폐증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다고 ‘미국정신과학회지’ 2월 17일자에 발표했다.지난 2005년 캐나다 토론토 아동병원에서도 생후 6개월 ... ...
살아 있는 화석으로 광합성의 기원 찾다
과학동아
l
201203
식물은 어떻게 광합성을 할 수 있게 됐을까. 지구에 나타난 최초의 독립영양생명체는 시아노박테리아(광합성을 하는 단세포세균)다. 약 35억 년 전 원시 지구에는 산소가 희박했는데, 시아노박테리아가 광합성을 하며 산소를 방출했다. 결국 대기에 산소가 풍부해지면서 물속에만 살았던 생물이 육 ... ...
테라헤르츠 빛 제어하는 편광기 개발
과학동아
l
201203
[탄소나노튜브로 3겹의 벽을 쌓고 빛을 투과시키면 테라헤르츠 영역의 빛을 제어할 수 있다.]베스트셀러 ‘다빈치코드’에서 주인공은 명화 ‘모나리자’의 유리보호벽에 적힌 암호를 찾아낸다. 이때 이용한 게 특정 빛을 조작할 수 있는 편광기다. 암호가 특정 주파수의 편광된 빛에만 반응하는 ... ...
다이어트 호르몬
과학동아
l
201203
살을 빼자 결심하고 피트니스센터에 등록했다. 부푼 가슴을 안고 간 첫날. 트레드밀 위를 시간당 7km 정도로 40분 동안 뛰었다. 숨은 턱 밑까지 차오르고 얼굴에선 땀이 쉴 새 없이 떨어졌다.‘이 정도면 오늘 먹은 걸 다 태웠겠지?’하지만 계기판에 표시된 칼로리는 단 200kcal. 오면서 먹은 초코파이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03
구겨지는 것은 아주 흔한 현상이다. 종이나 옷, 비닐 포장지, 알루미늄 호일 등 주변의 많은 것들이 구겨진다. 차 사고가 나면 차 앞부분은 충격을 흡수하면서 쉽게 구겨진다. 얼굴에 생기는 주름도, 수분이 빠지면서 생기는 과일의 주름도 구겨지는 현상이다.미시 세계에서도 구겨지는 현상이 보인 ... ...
2012 FLL KOREA 현장 속으로
과학동아
l
201203
“빨리, 빨리!”여기저기서 다급한 목소리가 들려온다. 레고로 만든 각종 로봇이 물고기와 옥수수 모형 등을 부지런히 나른다.이곳은 2012 FLL KOREA 대회 현장. 지난 2월 4일 올림픽공원 내 SK올림픽 핸드볼 경기장에서 열렸다. 이 대회는 창의공학교육협회가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가 후원했다. 대회에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03
안녕하세요. 한국 독자여러분! 저는 동남아시아 뉴기니아의 밀림 속에 사는 개구리입니다. 3월 5일이 경칩(驚蟄)이라 이렇게 한국에 초대돼 왔습니다. 제가 사는 곳은 늘 여름 날씨라 개구리가 동면을 마치고 깨어난다는 절기인 경칩을 실감하지 못했는데 막상 한국에 와보니 당장 저도 동면에 들어 ... ...
거짓말 탐지 MRI
과학동아
l
201203
“내일부터 회사에 나오실 필요 없습니다. 당신은 해고입니다.”“네? 도대체 왜죠?”“지난주에 받은 정기 MRI 검사에서 당신이 회사 기밀을 외부로 유출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경찰 조사도 받게 될 겁니다.”“말도 안돼요. 저는 결백합니다!”2006년 미국 샌디에이고에 ‘노라이(No-Lie) MRI’라는 ... ...
위를 운동시켜 뱃속에 평화를!
과학동아
l
201203
가끔 뱃속에서는 전쟁이 난다. 한 번 나면 쉽게 가라앉지 않는다. 꾸르륵, 하는 정체모를 소리부터 더부룩한 느낌까지 불편함이 종일 계속된다. 때로는 위장이 꼬이는 것처럼 통증이 있기도 하고 속이 쓰릴 때도 있다. 이 때 집어 드는 게 소화제다. 순식간에 뱃속에 평화를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
과학동아
l
201203
과학 실험반만 생각하지 말고 학교 신문반에 들어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다. 학생
기자
로서 생물 동아리 탐방을 하는 거야. 생물 실험에 대해 쓰고 관련된 자료도 찾고 그렇게 과학기사를 쓸 수 있지. 존경하는 과학자에게 편지를 써서 인터뷰를 할 수도 있어. 글 못쓰는 이과 학생이 할 수 없는 ... ...
이전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