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9"(으)로 총 6,2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산·해양분야의 선구 부산수산대학과학동아 l198704
- 학과를 대충 일별해보면 수산해양학부에 어업학과 양식학과 해양공학과 등 9개 학과, 이공학부에 자원생물학과 식품공학과 등 11개 학과, 사회과학부에 수산경영과 등 3개 학과로 모두 23개 학과에 이른다.이처럼 해양·수산과 직접 혹은 간접으로 관련된 학과가 23개에 이르고 있는 것은 한마디로 ... ...
- 인공자장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과학동아 l198704
- 미치는가가 실험되었다. 14일이 지나 채혈하여 살펴본 결과 생후 40주의 쥐에서는 28.7%, 9주의 것은 47.9%의 백혈구 감소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어느 경우나 자장밖에 내놓자 다시 늘어나기 시작했고 18주가 지나자 거의 원래상태로 돌아갔다.일상생활속에서 강한 자장에 계속 쪼이고 있으면 혈전증에 ... ...
- 한글전자 파일링시스팀 개발과학동아 l198704
- 시스템 공학센터에서 개발되었다.과기처의 특정연구사업으로 시스템공학센터 9그룹에서 개발한 이 시스팀은 각종 문서 도면 등을 디지틀 영상정보로 간단히 입력하는 스캐너, 고속 레이저 프린터와 단말기로 구성돼있다. 이는 LAN이나 팩시밀리와도 연결이 가능하여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 ...
- 16메가 D램 개발 성공과학동아 l198704
- 16MD램은 전자빔으로 0.7μ(1μ은 1천분의 1㎜)의 미세한 전자회로를 만드는 것. 가로 0.9㎜ 세로 16.6㎜의 칩 위에 약 4천만개의 트랜지스터와 콘덴서 등의 회로부품을 집적, 신문 64페이지 분량의 정보를 0.4초내에 읽어내는 것이 가능하다.메모리용 반도체생산은 아직까지 2백56KD램이 주력이며 1MD램의 ... ...
- 한·영 기술이전 세미나 열려과학동아 l198704
- 기술이전 세미나가 영국정보기술전문가 34명이 참가한 가운데 지난 3월9일부터 3월13일까지 대한상공회의소 회관에서 열렸다. 대한상의와 런던상의, 미들랜드은행이 공동 주최한 이번 세미나에서는 AI(인공지능), VLSI(초대규모 집적회로)개발연구, 소프트웨어개발기술 등 첨단기술 26개 분야를 한국에 ... ...
- 과학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학습자료의 다양화가 시급하다과학동아 l198704
-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학력은 국민학교에서 1등을 차지하다가 중학교에 가서는 9등으로, 그리고 고등학교에서는 파푸아 뉴기니아 나라보다 뒤떨어진 꼴찌에 가까운 11등(총 12개국 중에서)으로 드러나 학교교사, 과학교육 전문가 및 학부형 등 많은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하였다.이와같은 결과가 ... ...
- PartⅠ 미국·프랑스 국가 위신을 건 대논쟁 HTLVⅢ는 조작된 바이러스 칵테일인가?과학동아 l198704
- 개발했다. '갈로'가 없었던들 LAV의 발견도 지체되었을 것이다. 또 '갈로'는 AIDS배양에 H9셀라인을 이용함으로써 T림프구의 지속적인 투여없이 바이러스를 배양가능케 했다. 그리고 AI-DS바이러스 진단에 있어서도 현재까지 나온 어떤 진단법보다 예민한 진단법을 개발한 공적마저 논쟁의 결과와 함께 ... ...
- 결핵퇴치, 새로운 결의로 전염성환자 16만명이나 돼과학동아 l198704
- 수준이 우리나라와 비슷한 대만은 10.7명, 싱가폴은 9.0이며 선진국에 속하는 일본에서는 4.9명, 뉴질랜드 1.0명, 오스트레일리아는 0.4명으로 엄청난 차이가 나고 있다.연간 1만5천명의 결핵환자 감소우리나라는 1985년에 약 80만명의 활동성 폐결핵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계되고 있다. 이들 환자 중 연간 ... ...
- BASIC 강좌⑧ 전화번호부 프로그램과학동아 l198704
-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림11)은 수정하는 과정을 보여준다.(그림11)에 의해 (그림9)의 프로그램은 (그림12)와 같이 수정된다. (그림12)의 프로그램을 실제적으로 사용하려면 500번이하의 DATA문을 재구성 하면 된다. 한가지 중요한 것은 제일 마지막 DATA문을 "-1","END","MARK"와 같은 양식으로 처리해주는 ...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과학동아 l198704
- 바다밑 생물의 신비함을 탐험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현대과학의 해양학은 19세기에 시작됐다. 최근 대양에 관한 우리의 지식은 급격히 증가했다. '행성 지구'(Planet Earth) 팀도 이에 큰 역할을 했다. 바닷속 환경을 조사하기 위해 잠수한 '우즈홀' 해양연구소의 해양학자 '리차드 하비슨'은 ... ...
이전5935945955965975985996006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