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495건 검색되었습니다.
원격진료로 신장암 ‘명의’ 찾은 베트남 환자…한국서 수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순조롭게 회복했다. 수술 나흘 뒤인 이달 21일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홍성후
교수
는 “2016년 국내 최초로 복강경 로봇을 이용해 하대정맥 혈전을 동반한 신장암 수술을 시행할 당시 어떻게 하면 안전하게 수술을 성공할 수 있을까 몇 주 동안 잠도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방법을 고민했던 ... ...
제16회 아산의학상에 전장수·강윤구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임상연구심의위원회(IRB) 위원장을 맡고 있다. 정충원 서울대 자연과학대 생명과학부
교수
는 집단유전학자로서 다양한 민족들의 특성을 파악해 맞춤의학 발전에 필요한 기초 유전정보를 제공한 성과가, 박세훈 전문의는 대규모 유전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심장 심방세동이 만성 신장병에 영향을 ... ...
日, 올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전문가들 "안전성 담보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고 말했다. 오염수를 방류하겠다는 일본의 계획에 대한 대안도 제시됐다. 리치몬드
교수
는 껍데기에 방사성 핵종을 흡수하는 굴을 이용해 생물학적 정화 과정을 거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삼중수소의 반감기는 약 12년으로 다른 방사성 핵종을 제거한 뒤 오염수를 40~60년간 저장하면서 정화할 ... ...
100원도 안되는 센서...소변에 빛 쏘아 암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노준석 포스텍
교수
, 최삼진 경희대 의대
교수
와 공동으로 소변 내 대사체의 광신호를 증폭할 수 있는 스트립형 소변 센서를 개발하고 현장에서 암을 진단하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 ... ...
쓰고 버린 마스크가 나노플라스틱으로..."폐 손상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안전성평가연구소(KIT)는 인체유해인자 흡입독성연구단과 김범석 전북대 수의대
교수
연구팀이 PP 나노플라스틱을 기도 내에 서서히 투여해 폐 손상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입자 및 섬유 독성학’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25일 밝혔다. 미세플라스틱은 폐기된 플라스틱이 광산화, ... ...
따뜻한 대륙성 공기가 고농도 미세먼지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발달시켜 매우 높은 농도로 미세먼지를 발생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윤진호
교수
는 “과거 자료를 분석해 날씨와 미세먼지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했으며 특정 날씨 패턴이 어떻게 겨울철과 봄철 미세먼지를 악화시키는지 확인했다”며 “연구 성과는 일상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 ...
尹 대통령, 순방 후 첫 일정은 젊은 과학자와 오찬
동아사이언스
l
2023.01.24
우재성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
가 참석했다. 양자 분야는 손영익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가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4일부터 6박 8일 순방 기간 동안 ‘미래비전 두바이 포럼’, ‘스위스 연방공과대학 양자과학기술 석학과의 대화’ 등 일정을 진행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 ...
항우울제, 슬픔뿐 아니라 즐거움도 앗아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4
즐거움마저 앗아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바바라 사하키안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신경정신약리학 저널’에 23일 게재했다.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에 따르면 영국에서 2021~2022년 동안 830만 명 이상의 환자가 항우울제를 투여 ... ...
“지구 내핵 회전에 변화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4
“하루의 길이 역시 6년마다 1밀리초 정도 늘어나는 데 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송
교수
는 “지구 심장 움직임의 비밀을 밝히려면 지진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기록하는 게 중요하다”며 “기다리면서 데이터를 모으기만 하면 된다”고 밝혔다. ... ...
"소행성 이토카와, 절반은 빈 공간"
동아사이언스
l
2023.01.24
생존할 수 있었던 것은 충격 흡수 특성 때문"이라고 밝혔다. 공동 저자인 닉 팀스
교수
는 "돌무더기과 소행성이 거의 모든 역사 동안 태양계에서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만큼 이들은 우리의 예상보다 소행성대에 더 풍부할 것"이라며 "이같은 소행성이 지구로 올 경우 잔해로 가득 찬 ... ...
이전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