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뉴스
"
연구원
"(으)로 총 16,668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생명현상 조절하는 유전자 발현 제어장치, 코로나 대응 선봉 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기술 개발까지 다양한 모험과 도전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오늘도 연구실마다 교수와
연구원
, 학생들이 머리를 맞대고 열정을 펼치고 있습니다. 연구자 한 명 한 명은 모두 하나하나의 학문입니다. 동아사이언스는 210개에 이르는 연구실을 보유한 포스텍과 함께 누구나 쉽게 연구를 이해할 수 ... ...
[화보] 핑크 형광 뽐내는 뜀토끼…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시뮬레이션에서 드러났다. 제레미 슈니트만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연구원
팀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블랙홀 주변의 뒤틀린 시공간을 통해 광선이 이동하는 경로를 계산한 결과를 영상화했다. 알가리프 제공 엄청난 크기의 전자설비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미세조류가 자라나는 ... ...
우주 날씨 관측하는 세계 첫 나노위성 편대 '도요샛' 내년 상반기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주관하는 형태로 시작됐다. 천문연은 탑재체와 과학임무 및 운용을,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은 위성 본체 개발을 맡는다. 이 프로젝트에는 6개의 국내 스타트업이 제작 및 부분품 공급에 참여하고 있다. 도요샛은 내년 상반기 중 카자스흐탄 바이코누르 발사장에서 러시아 소유즈-2 로켓에 실려 발사될 ... ...
[부고] 김범수 KIST 재무팀 책임관리원 본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김범수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 재무팀 책임관리원 별세=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23호실, 발인 16일 오전 6시. 02-2258-5940 ...
[과기원은 지금] KAIST·화학연, 구조색 인쇄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사진. KAIST 제공 ■김신현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14일 이수연 한국화학
연구원
책임
연구원
팀과 자연을 모방한 구조색을 인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구조색은 색채에 의존하지 않고 물체의 구조에 의해 나타나는 유채색이다. 수컷 공작새의 깃털이나 카멜레온의 피부 등에서 나타나는 ... ...
[과학게시판] '이륜차 사고로부터의 국민 안전 확보' 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화합물이다. 양 기관은 상용화를 위한 공동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ETRI)은 14일 국제전기표준화위원회(IEC) 의료용 전기기기(TC 62) 기술위원회에 제안한 국제표준 개발안 '인공지능(AI) 머신러닝 기반 의료기기에 대한 성능평가 프로세스' 건이 승인됐다고 밝혔다. ETRI는 “AI ... ...
[기고]국회에 과학기술혁신특별위원회 설치를 건의한다
2021.12.15
것을 건의한다. ※필자소개 송철화 한과학기술정책연구회 부회장. 한국원자력
연구원
에서 신형 경수로(APR1400) 열수력 종합실험장치(ATLAS) 구축과 개별효과 실증실험을 통해 신형 경수로 안전개념의 개발 및 실증을 주관했다. 신형 한국형 원자로(APR+)와 중소형 원자로 스마트(SMART)의 새로운 ... ...
제주 해역 4.9 규모 지진 발생...여진 1년 갈 수도(재종합)
2021.12.15
여진이 발생할 수 있다"며 "지속적인 감시와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측은 "조만간 규모 3.0 이상의 여진 발생 확률이 높다"고 밝혔다. 지진해일 발생 가능성은 일단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 과장은 "규모가 4.9이고, 주향이동단층에 의해 발생해 지진해일이 발생하지 않을 ... ...
제주 인근서 규모 4.9 지진 전남북까지 '흔들'…"규모 3 여진 가능성"(종합)
2021.12.14
덧붙였다. 쓰나미 발생 가능성은 일단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제일영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지진연구센터장은 "파형 분석 결과 지진 규모가 해일을 일으킬 정도는 아니다. 특성 자체도 현재까지 파악하기로 옆으로 움직인 그런 특성이라 해일 가능성이 낮다"고 밝혔다. 지질연 측은 그러나 ... ...
큰 지진 없던 제주에 규모 4.9 지진…원인 파악 중
2021.12.14
덧붙였다. 쓰나미 발생 가능성은 일단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제일영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지진연구센터장은 "파형 분석중이라 정확하진 않으나 쓰나미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쓰나미도 발생하기 위해서는 조건이 필요하다”며 “물이 위아래 혹은 옆으로 움직이는지 등의 기본 분석을 ... ...
이전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