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과학기술문명 시간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수천년 인류역사를 통틀어 이룩한 것보다 더 많이 진보했다. 인류가 오랫동안 꿈꾸던
우주
에 첫발을 내디뎠으며 컴퓨터 로봇 반도체 등 첨단기술에 있어서도 괄목할만한 진전을 이룩했다. 2000년대에 우리 앞에 등장할 과학적 성과들은 어떤 것일까. 대부분 현재 과학자들이 머리 속에서 그리고 있는 ... ...
2020 초고속항공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현재 서울에서 1만1천km 떨어진 뉴욕까지 논스톱 운항 중인 대한항공의 보잉 747 최신예 장거리여객기를 탈 경우 음속보다 약간 느린 마하 0.75로 날아도 ... 항공기를, 그리고 2020~30년까지는 음속 5배의 극초음속 항공기를 관련전문 연구소 및 항공
우주
산업체들과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 ...
20세기 최대 과학자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견해에 찬성을 표시 한 반면, '핵무기가 사라진다'(19.6%) '노인성치매증이 치료된다'(32.8%) '
우주
정거장 등 지구 이외의 공간에 1천명 이상 거주한다'(39.1%) '핵융합이 가능할 것'(39%) '모든 암에 유효한 치료법이 개발된다'(35.2%) '지구외 외계인과 접촉한다'(11.8%)) 등에는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한편 .. ...
생체처럼 환경변화에 감지·적응 능력지닌 21세기 신소재 「스마트 재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진동특성과 손상을 감지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광섬유는 소형 항공기 및
우주
산업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차세대의 스마트구조는 하이브리드 작동(hybrid actuation) 및 감지(sensing)기술 면에서 현재보다 훨씬 탁월한 특성을 보유하고, 소형으로 모양이 다양한 혁신적인 ... ...
보고 만지고 타보면서 느끼는 산 체험의 장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다시 물속으로 잠수하는 시나리오를 만들었다.미래용 운송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 이
우주
왕복선은 자연과 인공이 잘 조화된 해저도시를 비행한다. 바다밑은 지상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극한 조건. 여기서 사용되는 구조물의 소재는 거대한 압력에 견뎌야 할 뿐더러 동시에 유연성도 갖추어야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은하내에서 초신성이 폭발할 확률은 크지 않아서 몇백년에 한번정도 생겨난다. 그러나
우주
에는 우리은하와 같은 외부은하들이 수없이 많이 존재하고 있다. 그래서 이것들을 관측하다 보면 초 신성을 발견하는 행운이 있을지 모른다.이 달에는 두개의 은하 트리오 그룹이 존재하고 있는 사자자리의 ... ...
초신성 관측수 급격히 늘어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에서 40%정도의 속도로 후퇴하는 은하도 발견되고 있다.초신성의 광도와 후퇴속도로부터
우주
의 크기와 나이가 결정된다. 따라서 초신성에 관련된 정보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천문학계의 난제 하나가 해결될 수 있는 가능성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 ...
아주 높이 있는 먼지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생성되었다는 과학 가설을 확인시켜 주는 것 같다. 먼지는 충분하게 주어진다면
우주
를 '닫을' 수도 있는 보이지 않는 암흑물질의 일부를 형성한다.많은 인류신화와 같이 현재의 과학 가설에 의하면 생명 그것도 먼지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한다. 뉴욕 이타카에 있는 코넬대학 행성연구소의 칼 ... ...
우주
탐색 전선24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 고개를 들면 밤하늘에는 별들이 반짝인다.● 일반인들이 별을 바라보기란 이렇게 쉬운 일이다.● 하지만 천문학자들이 천체를 관측하는 일은 그 ... 것인지부터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천문학의 현황을 중심으로 천문학자들이
우주
의 비밀을 풀어가는 방법을 알아본다 ... ...
① 빛은
우주
의 비밀 캐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최근 선진국에서는 빛 뿐 아니라 중력파(gravitational wave)나 중성미자(neutrino) 등을 이용한
우주
관측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천문학은 다음 세기에 어떻게 변모할지 아무도 예상하지 못할 정도로 발전하고 있다 ... ...
이전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