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비틀대는 한국과학기술의 「싱크탱크」 활로는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신청했다가 '운좋게 잘보여' 신청 금액이 그대로 지급돼도 정산제도에 묶여 차기연구에
활용
하지 못하고, 그렇다고 정부에 반납하기는 아까워 돈을 쓰기 위한 연구집행이나 크게 필요치않은 첨단장비를 구입하기도 한다.연구소 곳곳마다 먼지속에 쌓여있는 논문들이 비록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 ...
초고속 미생물 검출법 개발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식품 속에 들어가 있는 세균이랑 효모 등 미생물 하나하나를 수분내에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혼합된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사용돼 오던 배양법은 ... 쓰일뿐만 아니라 물의 순도가 중요시 되는 반도체 공장에서 제조용수의 품질관리를 하는데도
활용
될 수 있다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여기에 새로운 출구를 모색하고 나선 것이 유럽과 일본을 중심으로 한 '실생활에
활용
되는 우주개발'이다. 우리 생활에는 이미 여러가지 인공위성들이 활약하고 있다.방송통신위성은 지구촌 반대편의 경기를 생중계하기 시작했고 기상위성은 복잡한 대기의 움직임을 수시로 체크해 일기예보의 ... ...
새로운 단백질 찾는 열쇠 cDNA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조기진단이 가능해지고, 나아가 유전자치료법과 첨단의약제 개발에 cDNA를 긴요하게
활용
할 수 있다. 또한 cDNA의 발현산물인 단백질들이 의료산업뿐 아니라 식품산업 화학공업 환경산업 에너지산업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더욱이 현재 밝혀진 단백질의 가짓수는, 비슷한 기능을 가진 ... ...
쓰레기 속에서 진주 찾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작게 해 볼 필요성은 없는가 등등 가능한 한 여러 각도에서 연구해야 한다. 폐기물을 잘
활용
하면 세상도 깨끗해지고, 생각지도 않았던 큰 발명으로 돈과 명예도 얻을 수 있다. 우선 집안에서 버리려고 내놓은 물건부터 한번 살펴보자. 그 안에서 발명의 진주를 얻을 수도 있으니까 ... ...
생약,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채택되는데, 이것이 물에 잘 안 녹는다. 그래서 코팅제를 녹이는 용매로 에탄올이 널리
활용
되고 있다.그런데 이번에 문제가 된 징코민중 일부는 코팅용매로 메탄올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기백신도 마찬가지). 그렇다면 왜 하필 메탄올을 사용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제약업체 관계자들은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도 빙하기의 신비를 밝히는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자료들이다. 또 산소동위원소를
활용
해 고수온(古水溫)을 측정함으로써 빙하기의 실체와 접근해가고 있다.육지와는 달리 빙(氷)퇴석층이 발달되지 않은 해저퇴적층을 대상으로 한 빙하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해저퇴적층에서 발견되는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면이 있으나 물론 중요부분들이 훌륭하리만큼 크지는 못하다.(우리가 깊이 생각할때
활용
하는 부분들 말이다.)두뇌피질이 크다고 해서 꼭 머리가 좋은 것은 아니다. 어쩌면 앵무새 두뇌의 큰 가로줄무되 있는부분이 IQ점수를 높여주는지도 모른다. 앵무새는 고릴라처럼 말을 몇마디씩하고 사물을 ... ...
맞춤법교정 다양한 편집기능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간이출판(데스트톱출판)을 하는 유저들에게 불편함을 주었던 문서편집시의 메모리
활용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제시되었다.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2.0판을 사용할 때 편집가능한 메모리 용량이 8천문단 정도이며 이를 페이지로 환산한다면 약 5백11페이지라고 한다.당연한 추세이지만 EMS XMS 등 확장된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우루(Uhuru), 1978~1981년에 아인슈타인 1980년대 말에 깅가(Ginga) 등의 X선 인공위성이
활용
된 바 있으며 현재 미국 영국 독일의 합작으로 로샛 인공위성 (ROSAT, X선을 처음 발견한 뢴트겐의 이름을 따서 지음)궤도에 있다. 1993년 일본의 ASTRO-D와 1999년 미국의 AXAF가 발사될 예정이다.외부은하에서 X선 ...
이전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