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특정물질과 반응하면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해 그 물질의 존재와
양
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첨단감지장치인 것이다. 바이오센서는 매우 밝은 전망이 보장된 효소의 영역이다.이러한 효소의 잠재력을 많은 과학자와 산업기획자가 잘 알고 있지만 효소의 활용은 다소 느리게 ... ...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본선의 교통흐름이 최적의 상태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진입부에 신호기를 설치하여 적절한
양
의 차량이 진입하도록 통제한다.진입부 통제는 교통신호제어시스템이 고속도로에 적용된 형태로 보면 된다. 고속도로관제시스템에서 우회경로 안내시스템은 차량의 분산이라는 측면에서 교통체증을 ... ...
미완성교향곡 우주의 과거 현재 미래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그 정체도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우주의 운명은 암흑물질이 결정한다. 암흑 물질이 어느
양
보다 많으면 우주는 팽창을 멈춘 후 다시 수축해 대폭발의 반대인 '대함몰'(Big Crunch)을 맞이하게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온 우주가 검은구멍을 이루며 영원한 어둠 속으로 서서히 사라지게 될 것이다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 다른 대책을 꼽으면 주목의 세포를 배
양
하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이 방법을 활용해 탁솔을 생산한다는 목표 아래 장기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암도 따지고 보면 우리의 식생활 약물남용 대기 및 수질오염으로부터 비롯된 환경문제가 그 주원인이다. ... ...
명령어와 파일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여기에 들어가는 정보의
양
을 계산해보면 책이나 다른 기록매체에 비해서 얼마나 많은
양
이 기록되는지알 수 있다.1.2MB는 1천2백KB(킬로바이트)이며 이는 1백20만바이트다. 1바이트는 알파벳 한 글자에 해당되고 한글로 치면 2바이트가 한 글자에 해당한다. 보통 크기의 책에는 원고지 5매 분량 즉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못하기 때문이다."이외에도 우주 자기장 문제라든가, 별의 탄생과정, 반입자의 위치,
양
자론적 우주의 탄생, 기타 대폭발이론의 다른 산적한 문제들이 있다. 그러나 지면 관계상 현재 일본을 비롯한 유럽과 미국의 주요 연구기관에서 공통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대표적 과제들만 선별해 설명했다. ... ...
맨틀과 핵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임시로 (약4천만년 지속됐지만)지구자장의
양
극성을 안정시켰다고 가정했다. 버섯모
양
으로 솟아나오는 초대형 용암기둥들은 액체외핵의 움직임 속도에 따라 더 많이 나타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구다이나모의 힘에 변화를 줄 수 있다.생명체들이 붙어서 살고있는 지표라는 깨지기 쉬운 층 밑엔 정말 ... ...
4 석유대신 바이오매스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대규모 수소 생산공정 개발을 위해 늪지 호수 바다 등에서 광합성 미생물을 대량배
양
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있으나 실용화에는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 빨라야 2010년 경에나 실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캐나다 독일 등에서는 값싼 전기를 이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 ...
연료전지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동력원으로 채택될 수 있다. 또 잠수정의 동력이나 군(軍)의 이동용 발전기 등으로 다
양
하게 응용될 것이다.「문 라이트계획」의 일환으로우주선에 연료전지가 처음으로 채택된 이후 이를 훌륭한 에너지기술로 전환시키려는 노력이 60년대 후반부터 미국의 과학자들에 의해 적극 추진됐다. 에너지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있으므로 금액으로 치면 매년 3백만달러어치가 폐기되고 있는 셈이다. 이 어마어마한
양
의 불량 CD를 재생해서 사용할 수는 없을까.최근 미국 매사추세츠대학 플라스틱공학과 교수인 로버트 말로이와 그의 제자 킴벌리 보드루는 공동으로 불량 CD재활용 기술을 개발해냈다. 그리고 이 사실을 ... ...
이전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