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볼"(으)로 총 6,6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늘 과 내일만 여는 미 대사관 에 갔습니다. 대사관같지않고 큰데 하나하나 살펴보면 아기포스팅 l20150529
- 오늘 과 내일만 여는 미 대사관 에 갔습니다. 대사관같지않고 큰데 하나하나 살펴보면 아기자기한 정원이 있습니다. 내일 꼭 가보세요. 내일이 지나면 다시는 볼수없어요. ...
- 청소년 문화재 지킴이 출동!! [배재학당---지킴이 모둠]
기사 l20150525
- 시인이 좋아 했던 나무로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말을 묶어 놓으려고 사람의 키 높이에 박아놓았던 못이 이제는 아주 높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 날씨는 아주 더웠지만 저의 머리속은 더욱 꽉 채워지고 저의 마음도 따스해 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 ...
- 학교 수업을 잘하고 싶다면 예습을!!!!!!! 학교 수업을 잘하는 방법은 예습!!기사 l20150524
- 중요한 내용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세번째 시선으로는 여백 입니다. 노트 정리를 할때 빽빽하게 정리하면 중요한 내용을 찾아볼 수 없으므로 공책에 여백을 남겨두고 정리해야 합니다. 또한 성적을 올리고 싶다면 용어부터 정리를 하면 됩니다. 왜냐하면 노트정리의 기초체력은 용어 이해와 정리 입니다. 노트 정리를 할 때 용어를 이해하지 않고 ...
- 항성, 어디까지? 우주에서 가장 큰 항성기사 l20150524
- 1700에서 1900배라고 합니다.그 외에도 제가 처음알게된 베텔게우스는 600배이고요.또한 태양의 밝기도 알게 되었습니다.태양은 우리가 볼때는 아주 밝은 6등성이지만 사실은 아주 어두운 -27등성이라고 합니다.저는 이 사실에 아주 놀랐습니다. 태양이 굉장히 밝은 줄 알았었거든요.이 사진엔 안 나와 있지만 역시 VY 케니스 메이저리스가 제일 큰 ...
- (7조 삼총사와 대장)귀화 식물 150516-1 안양천에서 생태체험했어요. 그중에서 토끼풀탐사기록 l20150523
- (7조 삼총사와 대장)귀화 식물 150516-1 안양천에서 생태체험했어요. 그중에서 토끼풀 비교하기. 흰색과 분홍색 흰색은 흔하게 볼수있는데 분홍색은 보기 힘들었어요. 토끼풀은 1/10정도 있어요.더적을수도 있고요. ...
- 오늘기자단에서 정동에갔다. 정동에서는 이화학당, 러시아공사관,배재학당 그리고 정동제일교회에포스팅 l20150523
- 러시아공사관을 취재했다. 러시아공사관은사바틴이1890년에지었다. 6.25때폭격을맞아 제일큰탑만남았다. 그큰탑위에선 서울시내를 볼수있다. 정동제일교회는 헨리 게르하트 아펜젤러가 1887년에지었다. 마지막으로 배재학당은 헨리 게르하트 아펜젤러가 1885년에지었다. 배재학당의배재는 유용한인재를기르고배우는집이라는뜻이있다. 내 아버지도 배재학당출신 이시 ...
- 1부에서는 모둠별로 조사활동을 하고, 2부에서는 모두 모여 오늘의 문화재 4곳을 모두 함께포스팅 l20150523
- 1부에서는 모둠별로 조사활동을 하고, 2부에서는 모두 모여 오늘의 문화재 4곳을 모두 함께 돌아보았어요. 저는 지킴이 모둠 '능력자'로 배재학당을 소개하는 시간도 가졌구요. 인상깊었던 것은 저희 지킴이 모둠 배지혜 멘토 언니가 마지막에 설명해준 김소월 시인이 사랑한 나무 이야기였습니다. 임진왜란때, 일본군이 이 나무에 말을 묶어놓으려고 사람의 키 높이에 못 ...
- 요상한 기계들의 천국 포천 어매이징 파크를 가다. 현장 취재 포천 어매이징 파크.기사 l20150522
- 시작 되었나요? : 우리나라에서 시작 되었다고 볼 수 없어요. 왜냐하면 모든 기계들은 수입해서 들어와 쓰여서 우리가 다 만들었다고 볼 수 없어요. 수동식이든 자동식이든 모두 기계이며 움직이게 하려면 대가가 필요해요. 그렇지만 사람을 편리하게 해주는 거죠. 예를 들면 물레방아는 수동식으로, 엘리베이터는 자동식으로 말이지요. 4 . ...
- 를 읽고 창비에서 기존의 한국사 책들과는 조금 다르게 만든 재미있는포스팅 l20150520
- , 중요한 내용을 다시 짚어보는 "돌발퀴즈", 교과서에 안 나오는 이야기, 역사 현장답사등의 내용들로 다시 복습하는 기분으로 책을 볼 수 있습니다. 재미있다 한국사 책을 보고 나니 현장에서 수업을 다녀온듯 쏙쏙 알기쉽게 우리 한국사를 이해하게 되었네요. 다음에 직접 현장도 방문해서 서로 비교하면서 책의 내용을 다시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구요 ...
- 관성의 법칙 버스를 타면서 느낄수 있는 관성의 법칙기사 l20150520
- 급정거를 할 때 몸이 앞으로 쏠리셨던 기억은 없으셨나요?저는 둘 다 경험해보았는데,머리로만 생각해봤을 때보다 직접 경험해 볼 때 더욱 쉽고 빠르게 깨우칠 수 있었습니다.여러분도 버스를 탈 일이 있으시다면,관성의 법칙을 직접 느껴보세요.이상입니다 ... ...
이전5955965975985996006016026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