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 종자·동물의 알, 태어나기 전부터 정보교환한다
2019.02.12
무카이 히로미(向井裕美) 연구원 등은 식물의 '씨앗'끼리도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사실을
발견
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11일 전했다.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잡초인 질경이는 다른 식물과 같은 장소에서 무성하기 위해서는 빨리 성장해 경쟁에서 이길 필요가 있다. 연구팀은 용기에 질경이 ... ...
[프리미엄리포트]초콜릿 색깔의 완결판 '핑크 초콜릿'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일반적인 제조법보다 2배가량 높은 약 130도에서 중탕시키다가 우연히 황금빛 초콜릿을
발견
했다고 밝혔다. 발로나 측이 공개한 레시피에 따르면 일반 레시피보다 2배가량 높은 약 130도에서 화이트 초콜릿을 40분 동안 굽는다. 이때 가장자리만 타지 않도록 5~10분마다 섞어야 한다. 하지만 블론드 ... ...
'90.5를 기억하라'…인간마저 위협하는 플라스틱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2.09
이와 비슷한 고통을 받는 물개가 2018년에 영국의 노퍽 지역에서만 여섯 마리나
발견
됐습니다. 지구 곳곳에서 플라스틱으로 고통 받고 있는 동물들은 점점 늘고 있습니다. 사람과 달리, 동물은 플라스틱과 음식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훨씬 더 위험합니다.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하고 먹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완벽주의가 일을 망친다
2019.02.09
고루 나올 확률이 높지 모두 성공만 나오게 할 확률은 훨씬 낮다. 또 한 가지 흥미로운
발견
은 나이가 들면서 완벽주의적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성격 특성 중 신경증(neuroticism: 부정적 정서성, 과한 걱정 및 불안과 관련된 특성)이 높아지고 성실성(consciousness: 성실성 또는 체계성, ... ...
재미 한국인 과학자, 추위를 느끼는 단백질 원리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멘톨과 이실린이 TRPM8에 결합하는 지점이 PIP2라는 지질이 결합하는 지점과 가깝다는 것을
발견
했다. PIP2는 세포간 신호전달물질의 하나로 TRPM8가 멘톨과 결합하는 데 필요한 물질이다는 것은 밝혀졌으나 정확한 기전은 알 수 없었다. 연구팀은 PIP2와 멘톨을 비롯한 냉각 물질이 TRPM8의 구조변화를 ... ...
사람 세포가 10배 커지면 어떻게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10배가량 부풀리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세포가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하지 못하는 것을
발견
했다. 연구를 이끈 가브리엘 뉴로르 박사후연구원은 “세포 속 DNA가 정상 기능을 하는 데 필요한 만큼 단백질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했고, 세포질의 농도가 낮아져 화학반응이 느려진 탓”이라면서 ... ...
故 윤한덕 센터장 추모…"응급의료에 헌신한 든든한 버팀목"(종합2보)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의협 "길병원 당직실서도 1일 전공의 숨져…진료시간 제한 시급" 7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국립중앙의료원 고(故) 윤한덕 중앙응급 ... 사무실에서 설 연휴 근무 중 돌연 사망했다. 사진은 7일 오후 윤 센터장이 심정지 상태로
발견
된 사무실 외관 모습. ... ...
삼키는 인슐린 캡슐 개발…당뇨 환자 주사 대체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그 결과 캡슐의 혈당 조절 효과는 인슐린 주사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부작용은
발견
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과거에도 당뇨병 환자를 주사에 대한 고통에서 구제해줄 인슐린 알약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번번이 생물학적 문제에 직면했다. 가장 큰 문제는 인슐린을 ... ...
‘지우고 싶은 공포 기억’ 제거 돕는 뇌 속 효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뜻이다. 김세윤 교수는 “공포 기억을 없애는 과정은 아직 거의 밝혀지지 않았고, 일부
발견
된 기억 조절 요인들도 학습 능력을 함께 조절하는 경우가 많아 약으로 개발하기 어려웠다”며 “이번 연구 결과 찾은 이노시톨 대사 효소는 학습 능력을 조절하지 않고 기억만 제거해 공포 치료를 위한 ... ...
남극 바다표범 꿀꺽 삼킨 2017년의 추억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알려졌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 이 레오파드 바다표범이 이전보다 북쪽에서도 자주
발견
되고 있다. 과학자들은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허프먼 연구원은 “뉴질랜드 해변을 찾는 관광객들이 연구를 도와주길 희망한다”며 “레오파드 바다표범의 배설물을 어떻게 ... ...
이전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