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뉴스
"
성과
"(으)로 총 6,730건 검색되었습니다.
위염, 위궤양 주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비밀 열쇠 찾았다
2015.08.16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항생제 내성을 가진 헬리코박터 균 치료에 이번 연구
성과
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BabA 단백질은 헬리코박터 균에만 있는 특이 단백질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면 몸에 유익한 활동을 하는 균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헬리코박터 균만 골라 없앨 수도 ... ...
중증 천식 치료 신약 10억 원에 기술이전
2015.08.16
공동개발 추진과 함께 신약개발 관련 산학협력 환경을 구축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이번
성과
는 이경 동국대 교수, 김재홍·최용석 고려대 교수팀이 공동개발했다. PVS02696은 기존 치료제와는 다른 새로운 타깃에 작용하는 신규물질로 세포실험과 동물실험에서 모두 뛰어난 효능을 보였다. 스테로이드 ... ...
부작용 없는 당뇨병 치료물질 찾았다
2015.08.16
본격적인 치료제 개발을 거쳐 7∼8년 내에 실용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구
성과
는 핵산 분야 국제학술지 ‘뉴클레익 액시드 리서치(Nucleic Acids Research)’ 8월 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방학도 잊은 채 과학실험-토론… 과학고? 아니, 일반고!
동아일보
l
2015.08.13
벤치마킹한 ‘사회과학 논문반’도 개설됐다. 인문계반 교사들이 모여 과학실험반의
성과
를 인문계에도 적용할 방법을 궁리한 끝에 논문반을 만든 것. 덕분에 인문계 학생들도 사회과학 분야의 이론을 공부하고, 실험하고, 논문을 쓰는 기회를 갖게 됐다. 과학실험반을 거쳐 대학에 진학한 아이들은 ... ...
[청년드림]상담~사후관리 7단계 취업다리 큰
성과
동아일보
l
2015.08.12
[동아일보] 고양캠프, 청년 일자리 메카 부상… 2015년 맞춤형 취업자 3000명 넘길 듯 경기 고양시의 청년층(15∼34세) 취업자는 지난해 1967명으로 한 해 전보다 531명 늘었다. 올해는 5월 말까지 1525명에 달해 연말쯤이면 3000명을 훌쩍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고양시가 청년 일자리의 메카로 자리 잡은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접하고 좀 질린 필자로서는 10억 명이 넘는 신자를 두고 있는 거대 종교의 수장이 ‘이
성과
관용, 자비와 절제’를 지닌 사람인 것 같아 무척 다행이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내 생애 최고의 의술]한국 의사 최초 아프리카서 에볼라 치료… “감염병 중 ‘최고의 강적’과 사투 못 잊어”
동아일보
l
2015.08.10
때 의료진은 비록 에볼라를 이겨 내진 못했지만 좀 더 효과적인 대응법을 찾아내는 등
성과
가 있었다. 신 센터장은 “완치자 혈장을 이용한 치료가 주목받았는데 중증 환자보다 초기 환자에게 훨씬 효과적이라는 게 어느 정도 확실히 증명됐다”며 “추후 에볼라가 유행한다면 지금보다 효과적인 ... ...
전기요금 10분의 1로 낮춘 신개념 3D TV 나온다
2015.08.09
변환시키는 ‘미세 에너지 수확기술’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
는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신경질환 극복 청신호… 피부세포→신경세포 바꿨다
2015.08.09
또한 화학물질만으로 쥐의 피부세포를 신경세포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두 팀의 연구
성과
는 줄기세포 분야 학술지 ‘셀 스템셀’ 온라인판 6일자에 나란히 게재됐다. 두 연구팀은 독립된 2개의 중국 연구팀이 외부 유전자 없이 피부세포(섬유아세포)를 신경세포로 바꾸는 데 각각 성공했다. 두 ... ...
북한은 숨은 ‘수학 강국’일까
2015.08.07
거둔 북한이지만 정작 ‘프로’의 세계인 국제 수학계에서는 그다지 두드러진 연구
성과
를 내지 못하고 있다. 어려운 경제 여건 때문에 순수 수학을 연구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 기술 분야에 필요한 응용 수학을 연구하기 때문이다. KAIST 학술정보운영팀이 1976년부터 2015년 6월까지 ... ...
이전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