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서클
기본형
으뜸꼴
원
모형
둥근꼴
d라이브러리
"
원형
"(으)로 총 79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로부터 첨단기술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04
갖고 있는데 섬유자체가 복합재인 경우가 많다. 또 이 섬유들은 모양이 동그란 것에서 타
원형
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 복잡한 구조는 앞으로 극초음속비행기 재료를 만드는 길잡이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감각을가진소재사람은 아프거나 덥거나 춥다고 느낄 때 이런 것을 알려 주는 감각을 ... ...
지각변동도 미리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304
적도면 55°의 기울기를 갖는 6개의 서로 다른 궤도면을 가지며 위성의 고도는 약 2만㎞,
원형
궤도를 회전하는 주기는 약 12시간으로 합계 24개의 위성(주21, 예비3)을 배치시켜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GPS는 당초 1986년 최초 실용위성을 우주왕복선(Space Shuttle)으로 발사해 1989년 완전 운용할 ... ...
③ 말은 마음의 구조 밝히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03
등에 초점을 맞춘다. 인류학은 인간의 행동 및 사고의 틀을 밝히고 인류의 본래 모습, 즉
원형
을 밝혀내는데 관심이 많다. 신경과학은 사람의 뇌를 중심으로 한 중추신경계 및 기타 신경체계를 생물학적으로, 화학적으로 밝혀내고 싶어한다.언어학 역시 마음의 산물로 여겨지는 언어의 신비를 ... ...
플루토늄 확보계획은 시대 착오
과학동아
l
199303
가장 많이 소비할 고속증식로의 실용화가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고속증식로의
원형
로인 몬주(후쿠이현 소재)가 올해부터 가동에 들어가고, 이것이 성공적으로 운영될 경우 90년대말 실증로(실제 전력을 생산하는 원전)의 건설에 들어갈 계획이다. 몬주와 실증로가 2010년까지 소비할 플루토늄은 22~33t ... ...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199303
종래 봐왔던 3백60도 서클비전과 달리 이음새의 단절이 없는 것이 특징. 주변을 빙 둘러
원형
전체가 한 화면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관람객들의 시야를 전혀 방해하지 않는다. 선경측은 3백60도 전체를 이음화면으로 구성한 것은 세계 최초의 시도라고 밝혔다.'이매지네이션 환타지아'로 불리는 이 ... ...
프랑스의 미래도시 퓨처로스코프
과학동아
l
199302
영상과 함께 관람석을 움직이게 함으로써 영화의 실체감을 고조시키는 것이다.한편
원형
영상관도 좋은 볼거리를 제공한다. 이곳은 직경 21m의 구형 건물에 4백10개의 좌석을 갖추고 있는 영화관이다. 35㎜필름 영사기 9대와 조합을 이룬 9개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데 3백60˚화면에 영사할 수 있다. 이 ... ...
5. 87㎞돌아 입자를 충돌시키는 SSC
과학동아
l
199302
LHC)이다.LHC는 양성자와 양성자를 충돌시켜 질량중심계 에너지를 16TeV까지 얻을 수 있는
원형
가속기이다. 기존의 둘레 27㎞의 전자 양전자 가속기인 LEP의 지하 터널을 이용할 계획이므로 SSC보다는 빠른 시간 내에 완공될 가능성이 크다. 이 LHC 역시 유럽의 많은 나라들이 참여 중이다.입자물리 ... ...
21세기를 체험하며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01
상징하는 93m. 관람객들이 올라가서 박람회장 전체를 조망할 제1전망대는 지름 32m의
원형
고리로 약 3백명이 동시에 관람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탑이 위치하고 있는 광장 바닥에는 성도(별자리 지도)와 팔괘가 새겨져 있으며, 탑의 하단부는 과거를 상징하는 첨성대의 석벽이미지를 보여주기 ... ...
디스크를 잘 관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01
된 테이프에 정보가 저장되는 메커니즘을 이해해보자. 일직선으로 된 테이프를
원형
의 디스크로 바꾸는 것은 매우 쉬운 일이므로 단순한 형태인 테이프를 가지고 상상하는 편이 이해하기 쉽다.일직선 테이프의 표면에는 아주 작은 쇳가루(산화철)가 칠해져 있다. 그래서 대부분의 테이프나 디스크가 ... ...
4 자원으로서의 흙
과학동아
l
199301
만들어 무늬나 글씨를 새겨넣을 수 있으며 굽거나 말리게 되면 상당히 딱딱하게 되어
원형
이 오랫동안 보존된다.일찍이 B.C.3000년 전부터 고대인들은 주변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점토를 일상적으로 이용했다. 점토를 다진 후 음식을 담을 토기를 만들었으며 햇볕이나 불에 그을린 벽돌을 이용해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