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장
장롱
마켓
창자
장농
농
페이지
d라이브러리
"
장
"(으)로 총 2,81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살리고 창의력 기르는 재활용 발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3
3 나만의 멋진
장
난감 발명분리수거를 잘 하다보면 재활용품으로 나만의 멋진
장
난감을 만들 수도 있어요. ‘내일은 발명왕’에서 버려진 페트병이 멋진 청소기로 재탄생하고 다 쓴 옷걸이도 독서대로 변신하는 것처럼, 재활용품으로 창의적인 발명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답니다. 재활용을 하면서 ... ...
제인 구달 박사가 전하는 지구사랑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3
새싹이 있어요. 11월 15일에 환경 운동에 대한 아이디어를 서로 교환하는
장
이 열렸죠. 현
장
을 함께 살펴볼까요이제 모든 친구들이 지구사랑법을 깨달았겠죠? 지구를 사랑하는 방 법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요. 주변 환경에 관심을 갖다 보면 나도 모르게 작은 행동 하나부터 변하는 걸 느낄 수 ... ...
만화에 기술을 담다 조남호엔지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2
열심히 연습하고 있지요. 아이와 함께 이야기도 나누고 그림을 그리는 시간이 가
장
행복하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부모님과 함께 그림 그리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 ...
큐리오시티가 보낸 첫 번째 컬러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7
큰 사진)을 지구로 보냈어요! 이 사진은 큐리오시티가 내비게이션 카메라로 찍은 사진 130
장
을 이어붙인 것의 가운데 부분이지요. 사진에는 붉은 색을 띠는 자갈밭이 분화구 끝까지 펼쳐져 있어요.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과학자들은 화성이 지구에 있는 모하비 사막(미국)과 많이 닮았다며 놀라워하고 ... ...
웬록과 맨드빌의 과학으로 따는 금메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5
수 있는 거야! 박태환 하루 15㎞씩 1년 동안 약 3000㎞(지구 반 바퀴) 이상을 헤엄친다!
장
미란 하루 70t씩 1년 동안 약 14000t(무게 155t인 보잉747 항공기 90대) 이상을 들어 올린다! 양궁 대표선수 하루 300발씩 1년 동안 약 60000발의 활을 쏜다!겉으로 화려해 보이는 선수들의 멋진 모습 뒤에 이렇게 많은 ... ...
어메이징 모기맨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4
직접 개발한 ‘훈연소독기’예요. 은행잎을 넣고 태워서 나오는 연기로 모기를 잡는
장
비랍니다. 이런 반짝이는 아이디어들로서울시에서 희망서울창의상도 받으셨어요. 은행잎에는 프라보노이드, 터페노이드 같은 살충 성분이 20여 가지나 들어있어 살충 효과가 커요. 플라스틱 통에 들어 ... ...
모모와 요괴들의 수상한 모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3
감독님께 물어 보자.일본 에도시대 중기에 쓰여진 목판 그림책 ‘키뵤우시’에 등
장
하는 요괴를 보고 영감을 얻었어요! 어때요? 익살스럽지요? 영화는 7월 5일에 개봉하니까 그때 만나요~ ... ...
[퍼즐탐정 썰렁홈즈]프랑스 소설가 ‘그를좀 쓰넹'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3
‘띵동~’아침 일찍 썰렁홈즈의 집으로 편지가 한
장
도착했다. 친구인 프랑스 소설가 ‘그를좀 쓰넹’이 보낸 편지였다.“내 친구~, 홈즈! 오랜만이네. 지금 나는 아주 ... 지우개 똥으로 우리 똥 싸움이나 해 볼까?”
장
난으로 시작한 썰렁홈즈와 쓰넹의 지우개 똥 싸움.
장
난 아니네… ... ...
이슬 맺힌 나비와 소리없는 대화를 속삭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3
날아든 제비나비를 조명을 이용해 촬영했다. 물이 흘러내리는 유리판으로 비가 오는
장
면을 만들었다. 사진기로 그린 그림파스텔 느낌을 주는 나비 날개와 흔들린 꽃잎, 동그랗게 반사된 물방울이 마치 유화로 그린 그림 같다. 나비와 물방울만으로 최고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여러 번 겹쳐서 ... ...
함께 사는 지구, 그런데 왜 부자만 건강할까
과학동아
l
201212
2003년부터 2007년까지 덴마크의 뇌졸중 환자 1만 4545명을 조사했다. 그 결과 저소득층이나
장
애인 연금생활자가 전체 치료 과정을 제대로 모두 받을 확률은 고소득, 정규직의 82~83%에 불과했다. 의료 취약층도 예외가 없어서, 김창엽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등이 올해 ‘노화연구’지에 낸 논문을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