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d라이브러리
"
전류
"(으)로 총 968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07
거의 나지 않는다. LED는 흘려준
전류
의 상당부분이 바로 빛으로 바뀌며, 그만큼 같은
전류
에 대해 빛으로 바뀌는 효율이 높다. 수명의 경우 백열전구는 5천시간 정도인 반면, LED는 거의 반영구적이다. 거리의 신호등이 가끔 꺼져 있는 이유가 바로 그 안에 백열전구가 쓰이기 때문이다. 이런 신호등이 ... ...
세계 최초 단원자 트랜지스터 개발
과학동아
l
200207
전자 조절 방식에 자기적 성질이 추가됐음을 의미한다. 이로써 트랜지스터의
전류
흐름을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네이처지는 이 연구에 대해 “원자 하나가 트랜지스터가 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당장 단전자 트랜지스터를 실용화하기는 어렵지만, 앞으로 나노전자소자를 개발하는데 ... ...
산화·환원 이용한 음주측정기
과학동아
l
200207
풍선식보다 훨씬 더 정확하다. 이 장치에는 튜브로 불어넣은 알코올이 많을수록 강한
전류
가 흐르게 돼 혈중 알콜농도에 따라 다른 색의 불이 점등된다.▶▶▶ 흔들면 푸른색이 나타나는 이유는?메틸렌블루는 산화되면 푸른색, 환원되면 무색을 나타내는 산화·환원 지시약이다. 메틸렌블루는 보통 ... ...
연료전지 실용화하는 얇은 막
과학동아
l
200206
산소가 발생하는데, 거꾸로 수소(${H}_{2}$)를 산화시키고 산소(${O}_{2}$)를 환원시키면
전류
가 발생한다. 수소와 산소가 갖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킨다는 꿈의 발전장치인 연료전지의 원리다. 그런데 현재 연료전지는 제작비용이 만만치 않아 실용화가 늦어지고 있다. 가장 큰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06
태양을 파괴했다는 설명은 구차한 변명에 불과하다. 사람은 자신의 몸에서 발생하는
전류
보다 수천배 이상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컴퓨터의 입장이라면 사람을 사육하는 것보다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분해해 에너지를 얻는 것이 효율적이다.물론 매트릭스의 중심은 ‘현실이라고 알아왔던 세계가 ... ...
유방암 알려주는 브래지어
과학동아
l
200206
3차원으로 화면에 나타난다. 비정상적인 성장을 보이는 종양조직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전류
를 통과시켜 보면 정상인 유방조직과 차이가 난다.맥코믹 교수는 “전통적인 X선 검사법보다 안전하고 저렴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유방암 진단 브래지어는 곧 중국에서 수천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 ...
4. 돛올린 국내 초전도기술 개발의 현장
과학동아
l
200205
공극과 불순물이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금속계 초전도선에 비해 높은 밀도의
전류
를 흘릴 수 없는 약점이 있다. 물론 가격도 니오브-티탄선에 비해 1백배 정도 비싸다. 하지만 최근 고온 초전도선을 실용화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며, 성능과 가격 면에서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 ...
2. 책상 위에서 사용하는 슈퍼컴퓨터
과학동아
l
200205
흘려주면 조셉슨 접합의 양단 간에 걸리는 전압이 발생하지 않다가 이보다 많은 양의
전류
가 흐르게 되면 급격히 전압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해 ‘전압이 0인 상태’와 ‘전압이 0이 아닌 상태’를 사용한 논리회로의 구성이 가능하며, 이를 ‘래칭회로’라고 부른다. 래칭회로는 기존의 ... ...
3. 송전철탑 없는 고효율 전력기 탄생
과학동아
l
200205
고저항 상태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정상상태에서는 저항이 없어 손실이 없다가 이상
전류
가 발생하면 빨리 차단되고, 사고가 해결되면 다시 빠른 속도로 초전도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냉매로 사용하는 액체질소는 절연강도가 매우 높으며, 공기 중에 매우 많은 성분으로 환경친화적이다. 이런 ... ...
빛과 전자가 만난 퓨전학문 광전자학
과학동아
l
200205
줄인 셈이다.이 연구의 의미는 단지
전류
량을 1천분의 1로 줄인데 있는 것이 아니다.
전류
를 많이 먹는 종전의 반도체 레이저를 칩 위에서 작동시키면 칩이 과열돼 타버리므로 광집적회로에 쓰이기가 부적합하다. 권교수의 양자테라는 신형 반도체 레이저 개발은 미세한 레이저들이 D램 소자들과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