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김"(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다양한 풍미를 느낄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질소의 조밀한 거품, 부드러운 목 넘김!거품과 함께 차가운 커피를 들이 마시자, 커피 향이 입안을 가득 메웠다. 조밀한 거품 덕분인지 쓴 커피도 술술넘어갔다. 다른 커피와 질소 커피의 가장 큰 차이는 거품에 있다.맥주와 마찬가지로 커피의 거품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연장해 교점을 구하면 된다. 실제로는 모든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지 못하기 때문에 김 교수는 하모니 서치로 모든 직선에서 거리가 가장 짧은 점을 계산해 소실점을 찾는 법을 연구하고 있다. 외계행성 우주에서 제2의 지구를 찾아라!하모니 서치는 외계행성을 찾는 데도 쓰였다. 유럽우주국이 201 ... ...
- Intro. 바닷물을 꿀꺽꿀꺽?! 물 부족을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나는 바다초등학교 4학년 김물이야. 나는 물을 가지고 노는 게 너무 좋아~! 언제 어디서든 수도꼭지만 열면 물이나오잖아! 물을 콸콸 틀어놓고 물장난을 하는 거지. 세수를 하거나 이를 닦을 때도 물장난을 하면 지루하지않고 재밌다구. 크크~. 헉! 그런데 갑자기 왜 물이 안 나오지? 머리 감으려고 ... ...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2.0이 배포됐지만, 이미 세계적으로 존재가 알려진 뒤라 전파 속도는 현저히 줄어들었다. 김 연구원은 “만약 실수로 킬 스위치를 만든 것이라면 정말 아마추어가 뒷걸음 치다 쥐 잡은 격이고, 일부러 넣었다면 진짜 목적에 대해 해석할 여지가 많다”고 말했다.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5월 14일 ... ...
- 고등학생이 수학자와 저글링을 연구한 사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수학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작년 겨울 방학 때, 세 학생은 김 교수를 찾아갔다.이들은 김 교수와 함께 공 2개로 하는 저글링에 대해 연구했다. 그 뒤 저글링 수학에 관해 더 깊이 연구해 보고 싶어서 외국에서 저글링을 수학적으로 연구하는 교수를 찾아가기로 했다. 저글링 수학을 연구한 교수를 ... ...
- [Issue] 개나리와 벚꽃이 동시에… 봄꽃이 미쳤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기온은 급격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봄꽃의 개화일은 지금보다 더 빨라질 수도 있습니다. 김 연구원팀은 온난화가 급격히 진행될 경우, 2011~2040년에는 개나리, 진달래, 벚꽃의 개화시기가 최소 3~5일에서 최대 10~11일까지 앞당겨질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변화는 내륙 산간 지역보다 해안, 평야 지역이 ... ...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원리를 알아낸 것이다. 이 원리는 4차 마방진뿐 아니라 8차, 12차 마방진에도 적용됐다. 김 교수는 “운이 좋게도 초등학교 6학년 때 일종의 수학 연구를 경험했다”면서, “혼자 힘으로 문제를 풀었다는 성취감에 학업에 대한 자신감이 붙었고, 수학자의 길을 걷게 됐다”고 말했다.수학자로 살면서도 ... ...
- [과학뉴스] 거미집 모방해 바이오센서 능력 UP!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분해능을 높여왔지만, 분자의 확산 속도가 느려 센서의 성능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김철기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팀은 단백질과 DNA 등 바이오 분자에 나노 크기의 초상자성 입자를 부착했다. 초상자성입자는 주변에 자기장이 있을 때만 자석으로 변하는 입자다. 또 거미줄 모양을 본 따 미세 ... ...
- [과학뉴스] 베일에 싸였던 ‘나선형 천체’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관측한 껍질 구조를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비교한 결과 타원궤도라는 결론을 내렸다. 김 연구원은 “쌍성이 800년 주기로 타원궤도를 한 바퀴 돌면서 이런 껍질 구조를 만드는 것으로 보인다”며 “쌍성계를 이루는 늙은 적색거성의 주변 물질이 어떻게 행성상성운으로 변해가는지를 이해하는 데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통신그룹 NTT가 105km의 거리에서 양자암호 원격전송 실험에 성공했다. 김 교수는 “양자암호를 전송하는 것은 양자얽힘을 이용해 떨어져 있는 두 양자비트의 위치에다 정보를 옮겨 놓는 것”이라고 말했다.양자 원격전송은 양자정보를 만들 때 쓰는 양자중첩과 달리 양자 비트 2개가 가진 상관관계인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