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김"(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과학강국의 이면, 인도 ‘다리 밑 학교’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만들기였다. 학생들에게 실생활에서 접하기 쉬운 자석의 예시로 냉장고 문을 떠올렸지만 김 통역사는 “아마 여기 아이들은 냉장고를 모를 것”이라며 “한국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수업 진행에 걱정이 많았지만, 의외로 학생들은 재미있게 잘 따라왔다. 자석으로 귀걸이를 ... ...
- 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아프리카 친구들에게도 미안해. 앞으로 ‘물 펑펑’ 김물이 아닌, ‘물 자린고비’ 김물이 될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닷물을 꿀꺽꿀꺽?! 물 부족을 해결하라!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 ... ...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2.0이 배포됐지만, 이미 세계적으로 존재가 알려진 뒤라 전파 속도는 현저히 줄어들었다. 김 연구원은 “만약 실수로 킬 스위치를 만든 것이라면 정말 아마추어가 뒷걸음 치다 쥐 잡은 격이고, 일부러 넣었다면 진짜 목적에 대해 해석할 여지가 많다”고 말했다.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5월 14일 ... ...
- Intro. 바닷물을 꿀꺽꿀꺽?! 물 부족을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나는 바다초등학교 4학년 김물이야. 나는 물을 가지고 노는 게 너무 좋아~! 언제 어디서든 수도꼭지만 열면 물이나오잖아! 물을 콸콸 틀어놓고 물장난을 하는 거지. 세수를 하거나 이를 닦을 때도 물장난을 하면 지루하지않고 재밌다구. 크크~. 헉! 그런데 갑자기 왜 물이 안 나오지? 머리 감으려고 ... ...
- [과학뉴스] 거미집 모방해 바이오센서 능력 UP!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분해능을 높여왔지만, 분자의 확산 속도가 느려 센서의 성능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김철기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팀은 단백질과 DNA 등 바이오 분자에 나노 크기의 초상자성 입자를 부착했다. 초상자성입자는 주변에 자기장이 있을 때만 자석으로 변하는 입자다. 또 거미줄 모양을 본 따 미세 ... ...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원리를 알아낸 것이다. 이 원리는 4차 마방진뿐 아니라 8차, 12차 마방진에도 적용됐다. 김 교수는 “운이 좋게도 초등학교 6학년 때 일종의 수학 연구를 경험했다”면서, “혼자 힘으로 문제를 풀었다는 성취감에 학업에 대한 자신감이 붙었고, 수학자의 길을 걷게 됐다”고 말했다.수학자로 살면서도 ... ...
- [과학뉴스] 만성 B형 간염, 잘 안 낫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항바이러스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유전자 TRIM22의 전사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가 만성 B형 간염 치료제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거트’ 3월 24일자에 실렸다. doi:10.1136/gutjnl-2016-31274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많아지기 마련이다. 주로 먹는 음식에 따라 장내미생물의 분포는 눈에 띄게 달라진다. 김 교수는 “고기를 많이 먹으면 장내에 후벽균이 늘어나고, 채소를 많이 먹으면 박테로이데스의 미생물이 늘어난다”며 “장수촌의 노인과 어린 아이들은 도시에 사는 노인들에 비해 후벽균의 비율이 현저히 ... ...
- Intro. 벌부터 도마뱀까지! 최고의 사랑 배달부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난 이번에 5학년이 된 김◯◯이야.고민을 털어놓는 자리이니 이름은 일단 비밀로할게. 새로운 반에서 만나 첫 눈에 반한 친구가 있는데, 이번 화이트데이에 고백하려고 하거든. 예쁜 사탕 바구니도 준비했는데…. 도대체 어떻게 전해야 할지 모르겠어. 거절당하면 어쩌지? 누가 나 좀 도와 줘 ... ...
- [Issue] 어느 물리학자의 일기장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묶여 있는 전자들이 강자성을 나타내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믿고 있었다. 김 교수의 이론은 이런 관점을 뒤집는 것이었다.대학원을 졸업한 후에도 그는 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다보니 학술지에서 논문을 심사하는 심사위원들과 갈등이 많았다. 그의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