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시 생각함"(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물질에서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양자 상태를 찾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그래핀으로 다시 한번 전성기 맞은 양자홀 상태우리가 실생활에서 마주하는 모든 물질은 저마다의 상태를 ... 다른 결정(crystal)에 적용해 다양한 2차원 물질을 만들 수 있게 돼 양자홀 상태 연구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고 ... ...
- [통합과학 교과서] 갑자기 찾아온 추위가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아무리 겨울이어도 너~무 추워요! 눈도 많이 오고요. 이건 그냥 추위가 아니라 눈의 여왕이 다시 나타난 것이 분명해요. 마법으로 칼바람과 눈보라를 보내며 우릴 위협하는 거라고요. 이러다 다시 카이를 잡아갈지도 몰라요. 어떡하면 좋죠?”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구름 속에 있는 얼음 ... ...
-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들어가고 망을 통과해 어떤 출력으로 튀어나오는 함수입니다. 방금 이야기한 내용을 다시 한번 살펴보면, 하나의 ‘함수(딥러닝)’의 출력물이 또 다른 ‘함수(인공신경망)’지요? 출력물로 나오는 인공신경망을 사용하면 굉장히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1980년대에 수학적으로 ...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병을 이겨내고, 외부의 죽어가는 세포와 신호를 주고받는다. 도로시와 교감한 생명은 다시 생기를 얻는다. 어떻게 이게 가능한지는 누구도, 심지어 발명자조차 모른다. 죽어가는 세포 살려내는 나노봇은 아직 요원한 꿈미국의 공학자 킴 에릭 드렉슬러는 1986년 발표한 저서 ‘창조의 엔진’에서 ... ...
- [과동키즈]아픔 앞에 평등한 동물병원을 꿈꾸며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결심이 섰다. 예전에 과학동아에서 관심 있게 읽었던 기사 속 수의사가 떠올랐다.다시 대학입시를 치르고 경상대(현재의 경상국립대) 수의학과 학생이 됐다. 하지만 ‘이제야 ... 일상생활에는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열심히 설명했다. 할머니는 앞발 모아 하는 인사를 다시는 못 본다며 한참을 ... ...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적절히 이용해 알고리듬이 옳고 그름을 조금 더 잘 판단할 수 있도록 개선해 서비스를 다시 시작할 것이라 밝혔죠. 혹시 이번 이루다 사건으로 AI에 대해 실망했나요? 그렇다면 조금 더 기다려주세요. 이번 일을 계기로 더 나은 AI와 우리가 될 테니까요 ... ...
- 코로나19로 바뀐 세상, 코로나19가 바꿀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월 4일 코로나19 브리핑에서 “3월, 4월에 유행이 다시 올 수 있다”며 “방역당국에서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변이 바이러스가 지역 내에서 확산되는 와중에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고 날씨도 따뜻해져 사람들의 활동이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이해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정삼각형을 시계방향으로 먼저 120° 돌리고 그 후 다시 120° 돌리는 것은 한 번에 240°를 돌리는 것과 같은 대칭이동입니다. 비슷하게 먼저 240°를 돌리고, 그 후 다시 240°를 돌리는 것은 한 번에 120°를 돌리는 것과 같은 대칭이동입니다. 240°+240°=480°지만 360° ...
- [매스포터] 국제표준도서 마지막 숫자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있는 수를 모두 더해서 3을 곱한 값을 더합니다. 이 값을 10으로 나눠 얻은 나머지를 다시 10에서 뺀 결괏값이 바로 체크 숫자입니다. 예를 들어 ISBN이 978-89-94158-21-1일 때 열세 번째 수를 제외한 홀수 번째 자리의 수를 모두 더하면 9+8+9+4+5+2=37입니다. 그 다음 짝수 번째 자리에 있는 수를 모두 더한 뒤 . ...
- AI 치우침을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대화형 AI ‘테이(Tay)’는 이 말을 내뱉으며 세상에 발을 디뎠다. 하지만 16시간 만에 다시 세상에서 자취를 감췄다.테이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트위터 상에서 사람과의 대화를 목적으로 개발됐다. 단순히 질문에 정해진 답변을 하는 것을 넘어, 딥러닝이 적용돼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스스로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