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착
달성
성취
d라이브러리
"
도달
"(으)로 총 2,030건 검색되었습니다.
브래지어가 유방암을 유발한다고?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여러전문가에게 검증을 받았다는 뜻이다. 그러나 논문은 찾을 수 없었고, 최종적으로
도달
한 출처는 ‘The Local’이라는 유럽 온라인 매체에 실린 기사였다. “루이용 교수가 ‘프랑스 인포’ 라디오에서 ‘브래지어가 오히려 유방을 처지게 한다’고 말했다.”루이용 교수가 위와 같은 연구를 ... ...
옥토끼, 달에 중국 국기를 꽂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착륙 준비를 위해 고도 15km인 타원궤도로 변경했다. 준비 궤도를 돌다가 14일 밤 9시 15km에
도달
했을 때 속도를 줄였다. 11분 후 달 북쪽에 있는 목적지에 안착했다.창어3호는 착륙 과정에서 초속 1.7km로 내려오다 수 분 만에 서서히 정지하는 고도의 기술을 선보였다. 주 엔진과 28개의 작은 반동추진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1호
작디 작은 미생물에서 시작된 생명은 약 30억 년이 넘는 진화를 거쳐 인류에까지
도달
했지요. 그런데 문득 이런 궁금증이 들지 않나요? 과연 생명체는 지구에만 있는 걸까요? 외계에 또 다른 생명체는 없는 걸까요? 있다면 어떤 모습으로 어떻게 존재하고 있을까요? 그래서 저 치르치르는 ... ...
마지막회 폴의 선택은?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폴에게 뭔가를 묻는 표정이다. 대체 이게 무슨 상황일까? 폴 일행은 과연 열 번째 방까지
도달
해 테스티의 음모를 격퇴할 수 있을까? 환상 퍼즐여행 그 마지막 이야기가 시작된다.미션 ❶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청소기의 방“아이템들을 두고 가라니요? 시간의 열쇠를 찾을 때 필요하다면서요 ... ...
콘서트홀이 따뜻한 소리 만드는 5가지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있습니다. 이것은 그저 멋있으라고 붙인 조각이 아닙니다. 발코니의 벽면이 평평하면
도달
한 음이 골고루 확산되지 않고 한 곳으로 집중돼 반사됩니다. 그 자리에 앉은 사람은 마치 운동장에서 교장 선생님이 연설하는 것 같은 메아리 음악을 듣게 되지요. 만약 소리가 무대로 반사되면 노래하는 ... ...
루돌프 사슴 ‘눈’은 매우 깊은 파란 눈~♬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눈 안으로 들어온 빛의 대부분이 망막 안에 있는 시신경으로 산란된다. 많은 빛이
도달
한 시신경은 광자를 더 쉽게 붙잡아 깜깜한 겨울밤에도 잘 보게 되는 것이다. 이 때 파장이 짧은 파란색은 눈 밖으로 반사되면서 순록의 눈이 파랗게 보인다. 이에 비해 낮이 길어 빛의 양이 많은 여름에는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건널 수 없다. 강물을 거슬러 올라가야만 최단거리를 따라 이동해 목표 지점에
도달
할 수 있다. 반대로 직류는 흐르지 않는 강과 같다. 추가로 힘을 쓰지 않아도 최단거리로 건널 수 있다. 이 최단거리를 건너기 위해 쓴 힘의 차이가 바로 위에서 얘기한 에너지 차이다.따라서 교류는 직류보다 송전할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눈을 감고 원하지 않는 일을 해야만 한다. 2차 정화 전쟁의 발발 확률이 점점 높아져 1에
도달
하기 전에.“아니.”시계의 두 바늘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었다. 주리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시간도 겨우 몇 초뿐이었다. 나는 주리의 현실에 영향을 주어 나에 대한 기억을 지워버릴까 잠깐 망설였지만 ... ...
사회적 거리 가까울수록 눈치 더 본다?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나타났다. 반면 동료들과 정확히 연결되지 않았을 때(간접적 압력)는 그룹 전체가 합의에
도달
했을 때 의사 결정이 이루어졌다. 즉, 사회적 거리가 더 가까울수록 압력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이다.에스트라다 교수는 “이 연구는 변화하는 패션 트렌드에서부터 축구 시합에서의 군중 행동, 심지어 ... ...
PART 2. 남산 위에 저 소나무, 귤나무로 바뀔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서울은 여름철에 일할 수 없는 곳으로 변해버린다. 2020년 쯤 이미 불쾌지수가 평균 79.8에
도달
하기 때문이다. 이쯤 되면 에어컨을 끼고 살 수밖에 없다. 에어컨을 돌리기 위해 전기를 생산하고, 이 과정에서 또다시 온실기체가 배출된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악순환의 끝이 어디인지 궁금해진다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