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학"(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연구,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결합한 업적을 보면 호킹은 누구나 인정하는 최고의 물리학자입니다. 장애는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음을 증명한 사람이기도 하죠. 사람들은 호킹을 보고 ‘몸은 작은 휠체어 묶였지만 그의 지성은 우주 저 너머에 가 있었다’고 표현합니다. 지금쯤, 호킹은 그토록 ... ...
-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오른쪽보다 더 밝게 보이는 거죠. 정태현 박사님은 “블랙홀 관측 연구는 기존의 천체물리학 이론을 증명하고 발전시키는 데 매우 의미가 있다”면서 “올 해 관측에는 북극의 망원경이 또 추가되는 만큼 앞으로 점점 더 선명한 블랙홀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답니다 ... ...
- [과학뉴스] 러시아, 소행성 폭파 실험 진행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압력이 발생해 퍼지는 것을 확인했다. 블라디미르 유파 모스크바 물리기술연구소 응용물리학과 레이저시스템 및 구조재료학과 교수는 “향후 다양한 실험을 통해 소행성이 파괴되는 과정을 모델링할 수 있다”며 “만약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연구 결과를 활용해 막을 수 ...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교수, 2010~2013년에는 광주과학기술원 석좌교수를 역임했고, 2013년부터는 경희대 물리학과 석좌교수로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 ...
- [필즈상 미리보기] 게오르디 윌리엄슨, 치프리안 마놀레스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수 있는데 그 해 집합을 통해 다양체를 연구하는 게 자이베르그-위튼 이론입니다. 이론물리학에 기반을 둔 이론으로, 1990년대 이후 저차원 위상수학문제를 푸는 데 많이 쓰이고 있지요. 박사 과정 때부터 줄곧 이 이론을 연구하던 마놀레스쿠 교수는 이를 통해 3차원 다양체의 특성을 잘 설명하는 ... ...
- Part 5. 해와 달의 비밀을 밝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그 비결은 방패에 있어요. 탐사선 개발에 참여한 NASA와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응용물리학연구소는 11.4m 두께의 탄소복합체로 방패를 만들어 탐사선 앞쪽에 붙였어요. 이 방패가 태양 빛을 반사하면서 최대 1370℃까지 견딜 수 있게 해 주지요. 또 열 방출기를 이용해 방패에 스며든 열을 다시 우주로 ...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존재한다(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습니다. 아직까지도 많은 물리학자들에게 거론되는 이 유명한 강연에서 그는 이런 질문을 던졌죠. “인간은 얼마나 작은 기계를 만들 수 있을 것인가?” 놀랍게도 아주 작은 생물의 생체 내에서도 기계적인 운동이 일어납니다. ... ...
- 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물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과학자 중 하나가 아니었을까. 이필진_piljin@gmail.com1994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에서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이후 컬럼비아대와 코넬대에서 연구원 생활을 거쳐 1998년부터 고등과학원 교수로 재임하고 있다. 초끈의 모체라는 M이론의 존재 증명, 다양한 초대칭 솔리톤에 대한 연구, 초끈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이병호 학부장 본인이 그랬다. 부모님은 의대 진학을 바랐지만 본인은 순수 학문인 물리학을 좋아했기 때문에 물리와 가까운 전자공학을 택했다. 대학을 졸업한 뒤에는 “회로 설계를 배우면 잘 나갈 수 있다”는 교수님의 조언을 듣고 회로설계로 석사학위를 받았지만 박사학위를 받기 위해 ... ...
- Part 2. 수학, 과학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독특합니다. 포플 교수는 수학 박사 학위를 받고난 뒤 화학자가 됐고, 콘 교수는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했거든요. 두 교수는 화학 분야에서 최초로 ‘전산화학’에 관한 업적으로 노벨상을 받았어요. 전산화학은 분자의 움직임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해서 분자의 에너지 변화나 안정성 같은 화학적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