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대"(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쇼킹 사이언스] 에베레스트산 높이가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지진 때문에 에베레스트산의 눈이 가라앉아 높이가 낮아졌을 것으로 예측해요. 이와는 반대로, 에베레스트산 아래의 인도판이 유라시아판을 밀어 올리는 융기 현상이 계속돼 산의 높이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죠. 산 정상에서 부는 바람의 방향이나 세기도 높이를 바꿀 수 있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돌리고~돌리고, DIY 원심분리기 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수직한 방향으로 360° 회전하는 롤러코스터가 거꾸로 매달린 순간, 원심력은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해요. 중력은 지구 중심 방향으로 작용하니까요. 따라서 롤러코스터는 중력을 받아도 떨어지지 않죠. 위 실험에서 탁구공 역시 원운동을 하기 때문에 원심력을 받아요. 이때 원심력은 컵의 벽을 ...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나선팔이 많이 휘어진 은하, 즉 중심부 블랙홀의 질량이 큰 은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피치 각이 크면 중심부 블랙홀의 질량이 상대적으로 작다고 볼 수 있죠. 그러나 천문학자가 우주에 분포하는 수많은 나선은하를 모두 관찰하기는 역부족입니다. 그래서 인공지능 알고리듬을 이용해 ... ...
- 당신의 역사에 관한 최신 연구 총집합...정자가 난자를 만나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곡률의 역수)이 150μm 이하인 급격히 구부러지는 부분에서는 정자가 관 벽을 이탈했으며, 반대편 벽에 부딪힐 때까지 직진했다. doi: 10.1073/pnas.1202934109 연구의 제1저자인 페트르 데니센코 워릭대 교수는 “정자들이 우사인 볼트처럼 최단 코스로 빠르게 헤엄치는 것이 아니라, 충돌을 거듭하고 벽을 ... ...
- 심우주, 아득히 먼 곳을 향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연구’도 그중 하나예요. 원자를 구성하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는 질량이 같지만 전하는 반대인 반양성자, 반중성자, 양전자라는 짝을 가져요. 이 소립자들이 모여서 만들어지는 물질이 ‘반물질’이에요. 반물질과 물질은 서로 만나면 큰 에너지를 방출하며 사라지는데, 이 현상을 ... ...
- [매스크래프트] #11. 미국 대통령 집 백악관 미국 선거제도에도 수학이!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제안했습니다. 이 방법은 가장 싫은 사람에게만 표를 주지 않기 때문에 반대자가 적은 사람이 당선될 가능성이 큽니다. 1787년 프랑스 수학자 장 보르다는 ‘투표를 통한 선거에 대한 소론’이라는 논문을 통해 1등부터 꼴등까지 점수를 부여해 투표하는 ‘보르다 투표’를 제안합니다. 예를 들어 ... ...
- [기획] 즉문즉답. 슈넵스 박사에게 묻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말아야 하는 게 아닐까?’라고 생각하는 분이 계실지도 모르겠어요. 하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예요. 우리가 살펴본 사건들이 보여주는 건 수학이 법정에서 쓰여선 안 된다는 게 아니라 수학을 정확하게 써야 한다는 교훈이에요. 슈넵스 박사님이 말했듯 수학을 쓰지 않고 재판을 진행하는 것은 거의 ... ...
- [과학동아 X 긱블] 물수제비 기계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생겼는데요. 톱니에 막대기를 걸쳐놓으면 래칫은 한쪽으로만 회전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역회전하면 안 되는 기계에 많이 사용합니다. 잭키 님은 돌멩이 거치대가 잠깐의 역회전도 하지 않도록 거치대 고정축에 래칫 장치를 장착했습니다.이제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 ...
- [독일유학일기] 교육의 기회는 동등 학비 부담없는 독일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등록금을 인상한다는 이야기가 나온 적이 있었는데, 학생들은 곧바로 캠퍼스에 모여 반대 시위를 감행했다.유럽연합(EU) 출신이 아닌 유학생들은 몇몇 주만 등록금 일부(학기 당 1500유로, 약 200만 원)를 내기도 한다. 그러나 모든 주가 외국인 등록금을 받는 것은 아니다. 또 외국인이어도 만18세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펜타곤이 연 새로운 세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배열이 공간을 꽉 채운 모양을 나타낸다. 이런 물질을 ‘결정질 물질’이라고 한다. 반대로 원자가 규칙없이 무작위로 섞여 있다면 ‘비정질 물질’이라고 부른다. 1982년까지는 모든 고체는 결정질 물질 아니면 비정질 물질로 나뉘었다. 예외는 존재할 수 없었고, 오각형으로 평면을 채울 수 없다는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