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외
문외
부외
d라이브러리
"
범위밖
"(으)로 총 849건 검색되었습니다.
1. 지구는 생물이 살기 알맞도록 환경을 조절해 왔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가이아 이론은 지구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지구상에 생명이 태어난 시점부터 지금까지, 지구의 대기권 암석권 생물권을 지배하며 항상성을 유지시켜온 실체가 '대지의 여신' 처럼 살아 숨쉬고 있다는 것이다.가이아 이론은 "지구는 살아 있다"는 가설이다. 가이아(Gaia)란 그리스 신화 ... ...
2 유전자 이용, 수명연장·암 치료 현실화 눈 앞에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생체 내에 존재하는 효소는 생물공학의 발전과 함께 생체 밖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식품 의약 화학공업 유전공학 에너지 환경 등의 분야에서 이용되는 효소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생체 내에는 약 2천여종 이상의 효소가 있다. 이 효소는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종류의 신진대사에 관여한다. 한 ... ...
이동 컴퓨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작업 척척최근들어 자주 거론되고 있는 이동 컴퓨팅의 개념은 이미 PC의 출현과 함께 예견된 것이었다. 기술의 획기적 진보에 따론 이동 컴퓨팅의 발전 형태는 이제 PDA란 개인용 정보기기의 실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이동 컴퓨팅은 문자 그대로 '이동성(Mobility)을 갖춘 컴퓨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도플러효과를 이용하면 멀리 있는 외부 은하가 우리은하로부터 멀어지는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모든 천체가 하나의 점으로 뭉쳐 있었던 시기도 계산이 가능하다.축구장이나 야구장에서 단체응원을 할 때 '파도치기'라는 것이 있다. 끝에서 시작하여 차례대로 일어났다 앉으면 되는데 정 ... ...
4. 극저온·초고온에 견디는 신소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로켓개발의 핵심기술 중의 하나는 재료다. 재료개발 없이는 오늘날 인류가 우주를 정복할 수 있는 기회는 오지 않았을 것이다.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폰 브라운 박사팀에 의해 완성된 V2 로켓 개발을 시작으로 오늘날에는 군사용을 비롯하여 통신 관측 과학 및 우주개발을 위한 다양한 로켓이 연구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폐수정화유기물질·부유물질 90%이상 제거 가능하천이나 들판에 웬만큼의 유기물질을 내버려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정화되는 것은 대부분 환경미생물의 정화작용에 기인한 것이다.미생물(microorganism)은 환경을 좋게 하는 데도 나쁘게 하는 데도, 나아가서 환경을 인위적으로 정화시키는 데에 ... ...
PART.3 어떤 드라이브를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CD-ROM을 사기로 작정했다면 전송률, 평균 액세스시간, 버퍼의 크기를 확인하라. 그리고 내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방식이 호환되는지를 살펴라.물건을 구입하는 과정을 생각해보자. 사람들은 대개 늘상 써왔던 물건이 아니라면 구매과정에서 꼬리표에 부착된 제품 특성을 먼저 읽는다. 가령 그것이 ... ...
(1) 컴퓨터로 인간 5감(五感)입력 가상공간을 현실로 느낀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어쩌면 가상현실 연구는 인간이 컴퓨터를 고안한 순간부터 시작되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를 적용한 산물은 우리가 피부로 느끼지는 못해도 이미 현실화됐다. 가상현실의 과거 현재 미래를 살펴보자.요즘 신문에서 '가상현실을 이용한 XX 개발'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는 일은 그리 어려운 일이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연은 하늘을 날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을 성취시킨 첫 결과물이다. 얼핏 단순하게만 보이는 이 '장난감'을 자세히 살펴보면….겨울이 되면 우리 조상들은 연 날리기를 즐겼다. 연 날리기는 날리는 이나 보는 이 모두를 무아지경에 몰아 넣어 시간가는 줄을 모르게 한다. 연은 바람을 타고 높이 올라 ... ...
우리별 1·2호 그후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1. 지상 800㎞ 서 본 한반 도우리별 2호의 지표면촬영카메라는 2백m를 한점으로 인식한다. 비록 성능은 과학위성인 스폿의 카메라에 훨씬 미치지 못하지만 이를 운용하는 기술은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있다.요즘은 사방에서 환경관측위성 자원탐사위성 기상위성 등 위성에 관련된 이야기들이 자주 들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